충북도의 일부 현안사업이 난관에 부딪혀 지역의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원점 재검토 발언 이후 충청권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고, 전국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유치에 나서는 등 격랑에 휘말렸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과학벨트는 충북이 지난 2007년 대선 이후 오송·오창을 거점지구로 지정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왔던 대규모 국가프로젝트 중 하나다. 특히 충북은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가속기 유치에도 적극 나서 오창 가속기센터유치 추진위원회를 가동했고, 지난해까지도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공을 들였다.

하지만,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세종시를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오송·오창을 기능지구로 하는 구상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말부터 전국이 과학벨트 입지 논란에 휩싸여 충청권 유치를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충북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가 관철되더라도 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지정될 경우 실익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기존에 추진해왔던 오창 가속기센터 유치 등 실익 찾기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에 봉착했다.

◆경제자유구역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도 불투명한 상태에 놓였다.

정부가 지난해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한 데 이어 신규 지정을 강화하는 개정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관련 개정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신규 경제자유구역에 적용할 경우 지정을 낙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무산되면 충북도가 마련한 오송바이오밸리 구축과 청주국제공항 항공기정비센터(MRO) 외자 유치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따라서, 2월 국회에서의 관련 개정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충북경제자유구역 운명이 갈리게 되면서 지역정치계 등의 역량 결집이 절실할 상황에 놓였다. 태생국가산업단지 지정도 지지부진한 상태에 있어 조기 지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음성군 금왕읍과 대소·삼성면 일대 150만㎡에 2015년까지 1조 4000억 원을 들여 태생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태생산단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될 경우 태양광산업단지 집적지로 충북의 '솔라밸리'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과학벨트, 충북경제자유구역 등 중요한 지역현안들의 지정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여야 정치권이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