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민주당 정동영 최고위원(왼쪽에서 세번째)이 대전역광장 천막농성장을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 백지화' 시사 발언에 대해 비난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jprime@cctoday.co.kr | ||
정 최고위원은 이날 ‘과학벨트 충청 입지 사수 투쟁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민주당 대전시당 대전역 앞의 천막당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가장 지도력을 발휘해야 할 대통령이 분열과 갈등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 백지화’ 시사 발언에 대해 비난했다.
그는 이어 “현 정권은 과학벨트를 세종시 수정을 위한 사탕으로 써 먹었을 뿐, 그동안 테스크포스 하나 만들지 않았다”며 “과학벨트를 포함해 동남권신공항 건설, 747공약까지 모두 말만 있을 뿐 허공에만 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특히 이 대통령의 백지화 발언으로 인한 정치·사회적 신뢰 붕괴를 우려했다.
그는 “대통령이 ‘충청권 표를 얻기 위해 ‘과학벨트’ 약속을 했다’고 얘기하면서 지키지 않는 것은 국민을 심란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국가와 정치의 기본을 무너뜨리고, 대한민국의 제4의 자본인 신뢰를 잃어버리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진국이란 4대 강 바닥을 파고 콘크리트로 막는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말이 행동이 되고, 실천이 되는 나라가 선진국이다. 말이 무겁게 받아들여지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또 지난해 말 당론으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정한 것에 대해 “민주당은 차기 정권 경영에 꿈을 갖고 있다”라며 “현 정권처럼 표를 얻기 위해 공약이나 약속을 남발하지는 않는다”고 원칙적인 찬성을 표했다.
다만, 과학벨트를 둘러싸고 당내 호남 출신 의원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든 것에 대해선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그런 방향(당내 분열)으로 몰고 가길 원할 것”이라며 “우리는 (공약 백지화에 대해) 대통령에게 책임을 추궁하는 것이며, 정부 여당이 대답해야 한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편, 이날 천막당사는 박범계 대전시당 위원장과 한숭동 전 대덕대 총장, 박정현 대전시의원 등이 자리를 지켰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