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0일 대전시청 앞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전충청권 조성 유치가 아닌 사수라는 문구의 대형현수막이 내걸려 시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는 10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세종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과제 대토론회’를 열고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에 대한 타당성을 적극 제기했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 및 각계 인사들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라는 당초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의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심 대표는 이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세종시의 융합, 새로운 국가성장 모델’이라는 개회사를 통해 “과학벨트는 정치 프로젝트가 아닌 과학 프로젝트”라며 “과학벨트가 국가 미래 정책이기 때문에 정치적 이해에 따라 흔들리고 지역간 유치경쟁 등이 전개되어 또 다른 국론분열이 야기되는 것은 국가적으로 불행한 일로써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경고 했다.
심 대표는 특히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는 이미 공약 차원을 넘어서 정책의 효율성, 경제성, 상징성, 그리고 가장 중요한 국가정책의 신뢰성까지 확보된 국가백년대계”라고 강조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은 축사에서 “과학벨트 입지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이 설날 전 좌담회에서 백지화를 언급하면서 야기된 측면이 강하다”라며 “입지적 측면에서도 과학벨트는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한 오송과 오창 등이 인접한 세종시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소개했다.
한나라당 박성효 최고위원 역시 “충청민들은 대통령 공약의 신뢰가 지켜지는 것을 가장 큰 가치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모든 국민이 충청권에 가기로 되어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데 다른 지역에서 가져가려 하는 것은 불필요한 상황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충청권 입지를 강하게 주장했다.
김종민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이명박 대통령이 양치기 소년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충청권 입지를 주장하면서도 이 같은 약속에 대한 신뢰가 지켜져야 올바른 사회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헌승 한국화학연구원장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중이온 가속기 및 핵심연구장비 구축 △지속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기반 구축 △과학과 문화·예술이 융합된 국제적 도시환경 조성 등 4가지를 추진 과제로 꼽았다.
오 원장은 이를 추진하기 위해 의학 및 기타화학, 일반 산업용 기계,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정밀기계 산업의 유치와 함께 지속적인 정책지원 강화를 강조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