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결정에 대비한 충북의 대처방안 마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4월 과학벨트 입지를 특별법에 의해 결정하기로 한 가운데 충청권은 물론 영·호남, 경기도까지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입지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밝혔듯이 추진위원회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과학벨트 입지를 결정하게 될지, 분산배치로 결론이 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촉구하고 있는 충청권은 3개 시·도가 공조체제를 구축해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충청권 입지의 경우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하고 오송·오창 등을 기능지구로 하는 구상이다. 거점지구에는 중이온가속기, 아시아기초연구소 등이 들어서게 되며, 기능지구는 과학벨트 유치에 따른 효과가 상대적으로 반감될 수 있다.
지난 2007년 대선 이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와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적극 나섰던 충북으로서는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입지하더라도 기능지구에 머물 경우 큰 실익이 없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오랫동안 가속기 유치 등에 공을 들였던 충북의 지역발전 구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충북도는 지난 2008년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101만 6000㎡ 부지에 9084억 원이 투자되는 '차세대가속기센터' 유치를 위해 추진위를 가동하는 등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적극 나섰다.
또, 2009년에는 오송·오창이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최적지임을 내세우며 가속기 유치와 함께 과학벨트 유치도 병행했다.
하지만, 과학벨트 가속기 기종이 중이온가속기로 결정되고 세종시 수정안에 따라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하는 정부 구상이 발표되면서 제동이 걸렸다. 도는 과학벨트 내에 구축될 중이온가속기 외에도 정부가 또 다른 가속기 사업을 추진할 여지가 있다고 보고 오창 방사광가속기 유치 노력을 중단하지 않았다.
세종시 수정안이 백지화되고 원안 추진이 결정되자 과학벨트 입지 재선정에 따라 각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마저 포항에 입지하게 되면서 충북은 오랫동안 추진해왔던 현안사업을 하나도 건지지 못할 처지에 놓였다.
이처럼 충청권 지자체 중에서도 발 빠르게 과학벨트와 가속기 유치에 나섰던 충북으로서는 입지 재선정 과정에서 실익을 따지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도는 당시 차세대 가속기센터 유치를 위한 추진위원회를 아직까지 유지할 정도로 가속기 지역 유치에 대한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도는 오창의 안정적인 지반, 첨단 IT산업과 R&D 인프라, 사통팔달의 교통편의성에 따른 용이한 접근성 등을 내세우며 가속기 구축 최적지임을 강조해 왔다.
따라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에 대한 공조체제 외에도 입지 결정에 따른 오송·오창의 특화된 보건의료·첨단IT산업과 연계한 발전방안 모색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가 정치권에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어떤 형태로 결론이 날지 알 수 없다”며 “다만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놓고 입지선정 과정이나 결정 이후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