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과 함께 내포신도시로 이전해야 할 관련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들이 이전 결정을 연기하고 있어 도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도청사 신축과 함께 추진돼야 할 공공·유관기관 이전 등이 지지부진할 경우 향후 신도시에 도청사만 우뚝 서 있는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농어촌공사, 농산물품질관리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농업 관련 기관들이 신도시로의 이전 결정을 미루고 있다.
9일 충남도에 따르면 현재 신청사 건립은 37.3%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 12월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유관기관 및 단체 등이 입주하게 되는 비즈니스파크(면적 13만 3290㎡)의 분양률은 약 41.1%(5만 4814㎡)에 그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보훈회관, 농협중앙회 등 17개소가 분양 신청을 완료했지만, 이는 도가 당초 유치를 목표로한 100개 공공·유관기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이다. 게다가 분양이 완료된 기업들도 언제 공사에 착수할 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대전충남지회 등 농업관련 기관들이 내포신도시로의 이전에 대한 확정을 미루고 있어 도민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이들 기관들은 지사 이전에 관해서는 본사에서 주관하는 문제라며 재원 마련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당장 이전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농어촌공사의 경우 나주혁신도시로의 본사 이전이 진행되고 있어 충남지사가 내포신도시로 이전을 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내포신도시 건설의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기반공사를 비롯한 아파트 건설 등을 미루고 있는 가운데 기관 이전에도 차질을 빚고 있어 내포신도시 건설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충남도청이 이전하는 내포신도시는 기반시설이 거의 없어 공공기관이 집중적으로 이전해야 인구 유입과 학교, 병원, 교통 등의 조속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도청사가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 공공기관 충남지사가 대전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농업 관련 기관은 도청이전과 함께 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농어촌공사와 지적공사 등 유관기관들의 신도시 이전이 기타 상업시설 유치와 학교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도청사 신축과 함께 추진돼야 할 공공·유관기관 이전 등이 지지부진할 경우 향후 신도시에 도청사만 우뚝 서 있는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농어촌공사, 농산물품질관리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농업 관련 기관들이 신도시로의 이전 결정을 미루고 있다.
9일 충남도에 따르면 현재 신청사 건립은 37.3%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 12월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유관기관 및 단체 등이 입주하게 되는 비즈니스파크(면적 13만 3290㎡)의 분양률은 약 41.1%(5만 4814㎡)에 그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보훈회관, 농협중앙회 등 17개소가 분양 신청을 완료했지만, 이는 도가 당초 유치를 목표로한 100개 공공·유관기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이다. 게다가 분양이 완료된 기업들도 언제 공사에 착수할 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대전충남지회 등 농업관련 기관들이 내포신도시로의 이전에 대한 확정을 미루고 있어 도민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이들 기관들은 지사 이전에 관해서는 본사에서 주관하는 문제라며 재원 마련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당장 이전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농어촌공사의 경우 나주혁신도시로의 본사 이전이 진행되고 있어 충남지사가 내포신도시로 이전을 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내포신도시 건설의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기반공사를 비롯한 아파트 건설 등을 미루고 있는 가운데 기관 이전에도 차질을 빚고 있어 내포신도시 건설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충남도청이 이전하는 내포신도시는 기반시설이 거의 없어 공공기관이 집중적으로 이전해야 인구 유입과 학교, 병원, 교통 등의 조속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도청사가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 공공기관 충남지사가 대전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농업 관련 기관은 도청이전과 함께 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농어촌공사와 지적공사 등 유관기관들의 신도시 이전이 기타 상업시설 유치와 학교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