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충청권 사수를 위해 이달부터 궐기대회 및 1000만 명 서명운동 전개 등 본격적인 액션플랜에 나선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8일 “과학벨트 문제로 충청권이 들끓고 있다. 대통령이 충청권 배제라는 말은 안했지만 약속돼 있던 것을 무효화했다는 것은 충청권 배제의 입장이 더 강하다고 본다”며 “이제 우리는 과학벨트를 다시 찾아와야 하고, 반드시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이날 오전 시청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말한 것을 몇 차례 읽어보면서 확실한 것은 공약을 파기했다는 점이다. 대통령이 법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했지만 그 특별법에는 입지가 정해져 있지 않다”며 “대통령의 대선공약과 한나라당의 총선 공약 등이 모두 무효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대로 가서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는 어려울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면서 “정치권과 지역 시민·사회단체, 과학계, 충청권 3개 시·도가 공조의 틀을 유지하면서 힘찬 투쟁을 통해서만이 과학벨트를 지켜낼 수 있다. 다만 우리끼리 흥분하고, 분통을 터트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전략적인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대전시는 이에 따라 오는 4월까지를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를 위한 고비로 보고, 세부대응방안을 22개로 구분해 이달부터 본격 추진키로 했다.
우선 이달 중 대전·충청권 내 시민·사회단체들을 중심으로 과학벨트 비상대책기구를 발족하는 한편 대덕R&D특구 내 정부출연연구소 기관장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갖고, 결의대회 및 2차 추진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민은 물론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판단, 대전역 궐기대회를 시작으로 3개 시·도와 협의해 1000만 명 서명운동에 돌입키로 했다.
또 염홍철 대전시장을 필두로 3개 시·도지사가 공동으로 청와대와 총리실, 교과부 등을 항의 방문하고, 과학계 인사들을 주축으로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한 당위성과 논리를 개발, 정부에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달 과학기술계 저명인사를 참여시켜 대덕특구 출연연 연계 포럼을 개최하고, 4월에도 3개 시·도 발전연구원이 최적의 공동제안서를 마련하는 등 전략적 홍보방안을 마련, 적극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염 시장은 “우선 국민들을 납득시켜야 한다”며 “공약이 언제 있었는지, 교과부 장관이 세종시가 과학벨트의 가장 적지라는 언급을 했는지 등을 알려야 하고,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과학계, 3개 시·도와 공조해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를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