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8일부터 3일간 개헌 논의를 위한 의원 총회를 열고 이에 대한 당내 의견 수렴에 나섰다.
그러나 개헌 논의 출발을 놓고 당내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간 간극이 워낙 뚜렷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이날 열린 의총에서도 친이측이 개헌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개헌론 점화에 안간힘을 썼지만 친박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고승덕 의원은 “구제역이 우리나라에서 상시화됐다”며 “구제역 때문에 개헌을 못하면 우리나라에 소가 살아있는 한 개헌은 못할 것”이라고 구제역으로 인해 개헌이 어렵다는 반대 의견에 제동을 걸었다.
친이 의원모임인 ‘함께 내일로’ 소속인 박준선 의원은 “권력구조 부분으로 논의를 좁혀야 한다”고 말했고, 김재경 의원은 “대통령이 군림하는 나라가 아니다. 안정된 시스템으로 굴러가는 나라다. 국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통령 권한을 분산해야 하고 임기를 늘려야 한다”고 개헌론에 힘을 실었다.
이재오 장관의 측근인 이군현 의원도 지난 2007년 한나라당이 4월 의총에서 18대 국회 개헌을 당론으로 채택한 브리핑 자료를 배포한 뒤 “정치는 국민과의 약속이고 신뢰가 중요하다”며 당내 개헌 논의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김영우 의원은 “우리의 역대 대통령들을 보면 국민의 지지를 받고 대통령에 당선된 후 많은 곤란을 겪었다”며 “모든 것을 얻고 잃는 권력구조에서 여야 대화와 타협의 여지는 없는 만큼 근본적인 수술이 필요하다”고 개헌론을 제기했다.
한편 이날 국회 차원의 헌법 논의기구인 미래헌법학회 공동대표인 이주영 의원은 “17대 국회 당시 한나라당 당론은 차기 대통령은 임기를 다 마치고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대선 후보가 확정되면 후보 공약을 통해 국민들에게 개헌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고 했었다”며 “원래 (여야) 합의대로라면 18대 국회 초반에 (논의를) 했어야 한다”고 개헌 논의의 뒤늦은 출발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그러나 “올해 하반기에 들어가서 차기 대권과 총선으로 선거 분위기가 잡히면 힘들어질 것”이라며 “부지런히 하면 1987년처럼 3-4개월 안에 결판을 낼 수 있다. 어렵지만 한줄기 희망은 있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