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무상급식과 관련해 쌀을 현물로 지원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교육단체를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충북도영양사회(회장 김남주)와 충북도학교영양사회(회장 이정숙)는 8일 "지난해에는 학부모부담 식품비 단가에 청주시가 친환경 식재료 구입 및 지역 쌀 구입을 위한 예산을 별도로 지원해 쌀값 부담이 없어 양질의 급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무상급식지원비 외에 쌀 구입비 및 친환경 식재료 구입비 등의 별도 예산지원이 없음에도 20kg당 3만 3370원인 나라미보다 더 비싼 지역 쌀(일반미 기준 약 3만 7000원) 의 사용을 요구해 학교급식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또한 "구제역, 조류독감, 원유값 폭등, 한파 등으로 식자재 및 운영비 상승폭이 커져 올 한해 학교급식 운영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청주시는 자라나는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을 고려해 지역생산 쌀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싶다면 나라미와 지역쌀의 구입 차액(초·중 연간 2억 여 원)을 지원해 주거나, 지역쌀의 구입 단가를 나라미 가격으로 낮춰야한다"고 주장했다.
양 단체는 "청주시를 비롯해 도내 자치단체별로 친환경 및 우수식재료 구입비 또는 식재료비 차액분을 지원해왔으나 올해는 무상급식실시에 따라 도내 대부분의 시·군이 관련예산을 전액 삭감하거나 대폭 줄여 친환경급식을 실시하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친환경 우수 식재료 지원 예산은 무상급식과 별개로 계속 지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단체는 "청주시는 친환경 및 우수식재료 확보를 위한 공급망 확충 등 기반시설을 갖춘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친환경 농산물과 우수한 식재료를 학교급식에 사용하게 함으로써 지역 농산물의 소비촉진 뿐만 아니라 지역 농가도 살리고, 급식의 질 저하를 방지하는 소기의 성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지난 3일 충북교원단체총연합회는 성명을 내고 "청주시의 현물 공급 계획은 예산편성과 회계처리를 하고 있는 행정기관으로서 상식에도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일선 학교의 예산편성, 집행, 회계처리 등 어려움을 살펴보고 사태를 원만히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충북교총은 8일 또 다시 성명을 발표, '지자체에서 보조금으로 현물을 구입해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모 지자체의 기획재정부 질의회시 내용을 예로 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충북교총은 "지난해 무상급식 전면실시 합의과정에서 충북도의회가 조정을 하겠다고 나서서 보였던 일방적인 조정이나, 청주시의 무상급식비 중 일부를 쌀로 현물 지원하겠다는 태도는 차이가 없다"며 "이는 관행처럼 교육기관을 무시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북교총은 "청주시가 쌀의 차액을 보전해 준다면 청주시의 요구대로 청주에서 생산되는 쌀을 구매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김규철 기자 qc2580@
충북도영양사회(회장 김남주)와 충북도학교영양사회(회장 이정숙)는 8일 "지난해에는 학부모부담 식품비 단가에 청주시가 친환경 식재료 구입 및 지역 쌀 구입을 위한 예산을 별도로 지원해 쌀값 부담이 없어 양질의 급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무상급식지원비 외에 쌀 구입비 및 친환경 식재료 구입비 등의 별도 예산지원이 없음에도 20kg당 3만 3370원인 나라미보다 더 비싼 지역 쌀(일반미 기준 약 3만 7000원) 의 사용을 요구해 학교급식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또한 "구제역, 조류독감, 원유값 폭등, 한파 등으로 식자재 및 운영비 상승폭이 커져 올 한해 학교급식 운영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청주시는 자라나는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을 고려해 지역생산 쌀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싶다면 나라미와 지역쌀의 구입 차액(초·중 연간 2억 여 원)을 지원해 주거나, 지역쌀의 구입 단가를 나라미 가격으로 낮춰야한다"고 주장했다.
양 단체는 "청주시를 비롯해 도내 자치단체별로 친환경 및 우수식재료 구입비 또는 식재료비 차액분을 지원해왔으나 올해는 무상급식실시에 따라 도내 대부분의 시·군이 관련예산을 전액 삭감하거나 대폭 줄여 친환경급식을 실시하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친환경 우수 식재료 지원 예산은 무상급식과 별개로 계속 지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단체는 "청주시는 친환경 및 우수식재료 확보를 위한 공급망 확충 등 기반시설을 갖춘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친환경 농산물과 우수한 식재료를 학교급식에 사용하게 함으로써 지역 농산물의 소비촉진 뿐만 아니라 지역 농가도 살리고, 급식의 질 저하를 방지하는 소기의 성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지난 3일 충북교원단체총연합회는 성명을 내고 "청주시의 현물 공급 계획은 예산편성과 회계처리를 하고 있는 행정기관으로서 상식에도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일선 학교의 예산편성, 집행, 회계처리 등 어려움을 살펴보고 사태를 원만히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충북교총은 8일 또 다시 성명을 발표, '지자체에서 보조금으로 현물을 구입해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모 지자체의 기획재정부 질의회시 내용을 예로 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충북교총은 "지난해 무상급식 전면실시 합의과정에서 충북도의회가 조정을 하겠다고 나서서 보였던 일방적인 조정이나, 청주시의 무상급식비 중 일부를 쌀로 현물 지원하겠다는 태도는 차이가 없다"며 "이는 관행처럼 교육기관을 무시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북교총은 "청주시가 쌀의 차액을 보전해 준다면 청주시의 요구대로 청주에서 생산되는 쌀을 구매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김규철 기자 qc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