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동구가 오는 5월 신청사 공사재개를 천명한 가운데 94억여 원에 달하는 미확보액 마련이 당면과제로 부상했다.
동구는 올해 신청사 공사재개를 위한 확보 가능 총액을 205억 6000만 원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본예산을 통해 수립된 예산은 총 62억 7000만 원으로 이는 청소년종합문화센터 건립부지매입 19억 7000만 원, 청사도서관 건립비 43억이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동구는 오는 5월 중 실시되는 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143억 원을 확보해 신청사건립 소요재원의 불확실성을 해소한 후 공사를 재개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이 같은 동구의 신청사 재개 로드맵의 무리 없는 추진을 전제해도 94억 7500만 원의 미확보액 마련이 숙제로 남게 됐다.
때문에 동구는 설계변경 및 청사 잉여면적 임대 등을 통한 사업비 절감, 시공사 채무부담 추진 등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했지만 재원확보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동구는 구 원동 주민센터와 중앙시장 이벤트홀, 동구 보건소 등의 매각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에 의거, 사업목적 외의 다른 이유로 양도 및 매각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실제 동구가 고려하고 있는 주민센터의 대부분이 이 같은 규정에 묶여있다.
중앙시장 이벤트홀, 고객지원센터의 경우 보조사업 시설물의 존속기한 시기가 도래하지 않아 매각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동구보건소가 소재한 삼성동 일대 의료기관이 태부족해 매각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여기에 신청사 공사 중지에 따른 인건비, 공공요금, 경비용역비 등 현장관리비도 매월 1000만 원이 소요되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부담이다.
동구 관계자는 “이달 중 행정안전부가 발표하는 청사면적 기준과 자체 T/F팀의 결과물을 고려해 적극적인 대안을 수립할 것”이라면서 “시와 예산조율 등을 통해 우선 1회 추경에서 목표재원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