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원점 재검토 파문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정가가 과학벨트가 가져올 후폭풍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4·5면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의지 표명에 따라 설명절 이후 야당과 시민단체들이 성명을 통해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는 등 반발하는 속에 정부는 오는 4월 과학벨트 입지를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권의 민주당, 자유선진당 등 야당은 연일 정치공세를 펼치고 있다. 특히, 민주당충북도당은 이 대통령의 발언 이후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민주당충북도당은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를 위한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을 천명하고 나서 시간이 갈수록 반발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도 과학벨트 충청권 공약을 지킬 것을 촉구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과학벨트에 대한 공식 입장 표명에 따른 파장이 커지면서 과학벨트가 제2의 세종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팽배해져 지역정가가 향후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설 연휴 동안의 지역민심에서도 과학벨트에 대한 실망감이 노골적으로 표출된 상태에 있어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당장 오는 4월 재보선은 물론 내년 총선에서 여당이 고전할 것이라는 일각의 예측도 나오고 있다.야당은 이러한 지역정서를 자극하기 위한 정치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과학벨트 파문은 입지선정 과정은 물론 결정 후에도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과학벨트가 제2의 세종시로 재연될 경우 재보선과 총선에서 야당이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민주당도 고민이 깊다. 손학규 대표가 ‘과학벨트 호남 양보론’을 내세우며 충청지역 유치에 힘을 실었으나 당내 호남권의 반발로 내홍을 겪고 있다. 따라서, 호남권의 협조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에 당론을 결집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나라당은 과학벨트 파문으로 다시 한번 세종시와 같은 후폭풍을 맞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면서 공정한 입지선정을 통한 충청권 입지를 기대하고 있다.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서 세종시 후폭풍으로 참패를 당했던 한나라당은 전통적으로 지방선거에 강한 면을 보였다는 점에서 충격파가 컸다. 두 번에 걸친 총선에 이은 지방선거에서의 참패로 인적 쇄신 압박을 받고 있는 한나라당은 과학벨트가 다가올 각종 선거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한나라충북도당은 “대통령이 말한 요지는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입지를 선정하면 충청도민들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민주당의 정치공세 차단에 나서고 있다.

한나라당의 한 당원은 “특별법에 따라 추진위원회에서 과학벨트 입지를 결정하면 충청권에 도움이 된다는 대통령의 발언을 충청권 유치에 대한 긍정적인 표현으로 보기보다 야당의 정치공세 대상이 됐다”며 “과학벨트가 공정한 법적절차를 밟아 대선 공약대로 충청권에 유치되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야당의 대정부 투쟁에 의한 성과물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각종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과학벨트가 충청권 홀대론 빌미를 제공하고 야당의 정치공세로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