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교육청이 각급 학교장의 재량으로 구제역이나 AI 감염지역 학생들의 등교를 중지하도록 했으나 구체적 기준을 정하지 않아 혼란만 심화시킴은 물론 실효성이 의문시 되고 있다. ▶관련기사 2·3·5면

도교육청은 지난 6일 각급 학교장에게 '구제역·AI 발생지역 각급학교장은 발생지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백신 항체 형성 기간을 고려해 등교중지 여부와 기간 등을 시·군 상황실과 협의해 신속히 결정한 후, 문자메시지나 전화, 마을 방송 등을 이용해 학생들에게 신속하게 등교중지에 관해 연락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이에 따라 7일 도내 16개 초교와 21개 중학교, 23개 고교 등 모두 60개 교는 각급 학교장의 재량으로 지자체 상황실과 상의해 구제역이나 AI 감염지역 학생들의 등교 중지를 결정했다.

이날 등교중지를 받은 학생 수는 초교생 274명, 중학생 115명, 고교생 887명 등 모두 1276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지난 6일 열린 긴급대책회의에서 도교육청 관계자들은 구체적인 등교 중지 판단 기준을 정하지 못하고 학교장의 재량에 맡김으로써 혼란을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또 청원군의 경우 읍·면 단위의 모임이나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하고 시·군 단위의 행사나 모임 등은 자제시키고 있는 반면 도교육청에서는 학군 단위로 등교 중지를 지시, 각기 다른 기준을 적용해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특히 다음 주부터 도내 많은 학교들이 봄방학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방학을 앞당겨 시행하고 이달 말에 수업시기를 맞추는 것이 확산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구제역 발생지역 거주 학생들만 등교 중지 조치를 내리고 그 외 지역 학생들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수업을 받도록 해 구제역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구제역 발생지역인 청원군의 학부모 A(55·청원군 오창읍) 씨는 "우리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도 기가 막힌데 아이들까지 차별대우를 받아야 하느냐"며 "인터넷을 통한 원격 강의를 하는 등 다른 학생들보다 뒤지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놓고 등교를 하지 말라고 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충주시의 학부모 A 씨는 "현재로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지만 이 상황이 지속돼 새 학기까지 이어진다면 학업 진도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학교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간부회의에서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으나 학교장에게 재량을 위임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며 "방학을 앞당겨 실시하는 경우 오는 17일로 예정된 전문직 인사와 맞물려 어려움이 예상돼 어쩔 수 없다"고 답변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충주=김지훈 기자 stark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