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남 연기군민들이 7일 조치원역 광장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공약 백지화 발언에 대한 규탄대회를 열고 이대통령의 과학벨트 백지화 발언에 대한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정재훈기자 jprime@cctoday.co.kr | ||
충청권 지자체와 야당은 물론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불만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등 반발 수위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은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 무산될 경우 당직 사퇴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석만 대전시당 위원장은 특히 “대통령 발언 중 (과학벨트) 대선 공약 관련해선 대단히 실망스럽고 납득하기 어려운 발언”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여당의 지역 위원장이 비난 수위의 불만을 토로한 것에 대해 지역정가에선 그만큼 충청 민심이 악화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나라당 박성효 최고위원은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이 정치판에 대해 가장 안타깝고 불만을 느끼는 점은 왜 말을 자주 바꾸나 하는 것”이라며 “이제는 일하는 대통령에서 나아가 믿을 수 있는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고 대통령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은 연일 대통령에 대한 비난 강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민주당 충남도당은 이날 충남도청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권퇴진운동을 벌이겠다”고 강조했다.
양승조 도당 위원장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제2의 세종시 사태에 직면하고, 이 대통령에 대한 불복종운동과 정권퇴진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양 위원장은 또 “이 대통령이 ‘공약집에 있었던 것도 아니다’라고 말한 것은 분명한 거짓말”이라며 “이는 충청인을 능멸하고 우롱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민주당 대전시당도 이날 시당사에서 운영위원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과학벨트 입지 사수 투쟁 등 실력행사를 위해 대응책 마련에 들어갔다.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도 행동에 돌입했다. 7일 민·관·정 대표자 30여 명은 시청에 모여 과학벨트 대응책 마련에 뜻을 모았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 자리에서 “과학벨트 특별법에 입지를 충청권으로 명기하지 않은 것부터 의도가 있었다고 본다”며 “정치권과 시민단체, 행정기관이 함께 투쟁하지 않으면 과학벨트를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서구갑)은 “교육과학기술부와 정부의 용역에서도 충청권이 과학벨트 최적임이 거듭 확인됐다”며 "이명박 정부의 백지화 발언은 민주주의 근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힐난했다.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유성)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만이 목표가 돼서는 안 되고 입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포항 몰아주기”라고 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이상덕 대표는 “정권퇴진운동을 하지 않으면 세종시보다 더 어려운 투쟁이 될 것"이라고 했고, 이광진 대전 경실련 사무처장은 “단순한 논리나 적당한 활동으로는 세종시와는 다른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며 강력한 투쟁을 주문했다.
충청권 3개 시·도광역의회 의장들도 이날 시의회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위한 공동 투쟁에 합의했다. 이들은 오는 15일 국회의사당 본관에서 3개 시·도 광역·기초의원 4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칭)과학벨트 충청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충청민의 뜻을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하기로 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