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임시국회 개회를 앞두고 여야 영수회담 개최 여부가 돌출변수로 등장하면서 정국이 진통을 겪고 있다. 다만 여야가 민생현안 해결 등을 위한 국회 소집에는 공감하고 있어 어떤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민주당은 임시국회에 앞서 지난해 예산안 강행처리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등 입장표명을 촉구했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입장표명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7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예산·법안 날치기를 정리하기 위해선 영수회담을 통해 이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법적, 제도적 보완장치가 있어야 한다”면서 “이번 주 내에 영수회담을 열어 손학규 대표도 야당 대표로서 할 말을 하고 대통령도 할 말을 하면서 예산·법안 날치기에 대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있으면 안된다’는 말씀을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청와대 정진석 정무수석은 “영수회담과 국회 개원 문제는 별개 사안으로 동시에 처리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문제 등에 대해서도 ‘영수회담 의제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정 수석은 “청와대는 앞으로 영수회담이 아니라 청와대 회동이라고 표현키로 했다”고 언급해 영수회담의 의미를 축소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대로 영수회담은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열려야 한다”며 영수회담 개최를 거듭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2년 5개월간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안 만난 게 정상적인 일이냐”면서 “이번 주내로 길지 않은 시간 내에 영수회담 날짜를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민주당은 임시국회에 앞서 지난해 예산안 강행처리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등 입장표명을 촉구했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입장표명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7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예산·법안 날치기를 정리하기 위해선 영수회담을 통해 이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법적, 제도적 보완장치가 있어야 한다”면서 “이번 주 내에 영수회담을 열어 손학규 대표도 야당 대표로서 할 말을 하고 대통령도 할 말을 하면서 예산·법안 날치기에 대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있으면 안된다’는 말씀을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청와대 정진석 정무수석은 “영수회담과 국회 개원 문제는 별개 사안으로 동시에 처리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문제 등에 대해서도 ‘영수회담 의제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정 수석은 “청와대는 앞으로 영수회담이 아니라 청와대 회동이라고 표현키로 했다”고 언급해 영수회담의 의미를 축소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대로 영수회담은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열려야 한다”며 영수회담 개최를 거듭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2년 5개월간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안 만난 게 정상적인 일이냐”면서 “이번 주내로 길지 않은 시간 내에 영수회담 날짜를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