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시는 7일 오전 11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과학벨트충청권조성추진협의회 위원과 각계각층의 지역시민사회단체장 등 50여 명을 초청해 과학벨트 사수 공조방안 협의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대전시청 제공 | ||
이명박 대통령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 선정을 사실상 백지상태에서 다시 추진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제2의 세종시 사태'가 야기될 조짐이다.
당장 '과학벨트 사수 공조방안 협의를 위한 간담회'가 7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가운데 이 행사에 참석한 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 및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추진협의회 대전지역 위원들은 격앙된 분위기 속에서 들 끊는 충청인들의 민심을 대변하며, 청와대와 정부를 맹비난했다.
대전시는 이에 따라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에 대한 당위성 확산과 대통령의 공약이행 촉구를 위한 충청권 사수 대응전략 로드맵을 마련하고, 민·관 공조체제를 강화하는 등 범시민 공감대를 빠르게 확산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 국회의원들과 시의원, 시민·사회단체 대표들도 한목소리로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떠나 민주주의 근간을 훼손하는 중대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과학벨트의 충청권 사수 의지를 확인했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대전 서갑)은 “과학벨트 입지 선정까지 앞으로 100일이 고비다. 3개 시·도와 지역 국회의원, 시민·사회단체, 과학기술계의 역량을 결집한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며 청와대의 정식 사과와 정정을 요구했다.
선진당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도 “공약에도 없고, 법률적 근거도 없이 5000억 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방사광 가속기가 포항에 건설되는 등 정부가 R&D(연구개발) 예산을 포항에 몰아주고 있다”며 “과학벨트가 속빈강정이 되지 않도록 지역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상태 대전시의회 의장은 “대통령의 말 바꾸기는 신뢰의 문제다. 지역 시민단체, 3개 시·도 의회와 연계해 궐기대회, 서명운동 전개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해 투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이번 일로 대통령의 신뢰에 구멍이 났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시민들의 중지를 모아 과학벨트의 충청권 사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종석 출연연 연구발전협의회 고문과 강병주 한남대 교수 등 과학계 인사들은 “과학계에서는 과학벨트가 충청권으로 선정될 것으로 믿고 있으며, 충분한 과학적 입지타당성 논리를 개발해 나가야 한다”며 구체적 논리개발을 주문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과학벨트는 지난 2005년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이미 시작돼 이명박 대통령이 비즈니스를 포함해 구체화한 대선 공약”이라고 전제한 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전 시민의 역량을 모아 '과학벨트=충청권'이라는 공감대를 확산시켜 우리의 뜻을 정부, 더 나아가 모든 국민들께 전달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충청권의 단결된 힘이 최고의 전략임을 강조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