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염홍철 대전시장이 실·국장 간부들과 함께 과학벨트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회의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호열기자 kimhy@cctoday.co.kr  
 
대전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충청권 사수를 위해 행정·정치·과학적 단계별 대응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지역의 역량을 집중, 강력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실·국장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충청권 3개 시·도를 중심으로 하는 과학벨트 조성을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염 시장은 이날 “그동안 한파와의 전쟁, 구제역과의 전쟁을 치렀는데 이제는 과학벨트 문제로 충청권이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했다”면서 “과학벨트 입지는 3개 시·도가 협력해 그 당위성을 중앙정부에 강력히 전달하고, 과학계의 의견을 적극 활용해 질서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양승찬 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은 과학벨트 대응방안과 관련 추진경과 보고에서 “지난 대선 당시 한나라당 공약집에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 분명히 명시돼 있고, 이미 대통령도 8차례 이상 충청권 입지를 약속했다”며 단계별 대응전략을 공개했다.

시는 이에 따라 1단계로 대통령의 과학벨트 발언에 대한 청와대 항의방문 등 지역 정서를 강력하게 표출하고, 2단계로 객관적인 과학계의 충청권 입지 당위성 등 논리개발과 여론형성을 통해 공감대를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또 3단계로는 지난 40여 년 간 조성돼 온 대한민국 첨단과학연구단지인 대덕R&D특구를 비롯 세종시와 오송-오창 간 연계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키로 했다.

이어 박월훈 시 도시주택국장은 “지난 2005년 12월 참여정부가 내놓은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이미 대덕 혁신클러스터 조성 및 충청권 광역개발 등 대전·충청권을 과학기술벨트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 담겨 있다”며 “국토계획 전문가와 과학기술계 전문가들의 견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시성 시 복지여성국장은 향후 대응방안과 관련 “3개 시·도지사가 대통령과의 면담을 포함해 총리실과 교과부 등을 항의방문하고, 지역민의 연대서명, 과학기술위원회 참여 등을 통한 충청권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욱형 시 기획관리실장도 “대통령의 공약이행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중앙정부의 과학벨트 조성에 대한 진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염 시장은 이에 대해 “설 연휴를 통해 나타난 지역민심을 시민·사회단체와 연합해 중앙에 전달하고, 대덕R&D특구와 오송-오창 간 C벨트가 과학벨트 입지의 최적지임을 알리는 일이 시급하다”고 전제한 뒤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한 세부실천 사항에 대한 구체적 액션플랜 수립을 긴급 주문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