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관련 백지상태에서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충청권 입지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대통령과의 대화, 2011 대한민국은’ 이라는 제하의 신년 방송 좌담회에서 “(과학벨트는) 국가백년대계니까 공정하게 과학자들이 모여서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사회를 맡은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가 “백지에서 출발해야 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논란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다시 “충청권에서 반발이 심할 것”이라고 되묻자 “이런 반발보다는 위원회가 공정하게 할 것이라는 점을 충청도민이 믿어줄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충청도민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개헌 논의와 관련 “시대에 맞도록 하는 것이 맞다. 국민도 그렇게 생각하고 정치권도 그렇게 생각한다”며 “당리당략으로 정치적으로 생각하다 보면 안 된다. 청와대가 주관할 시간도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헌법 개정의 정략적 의도라는 입장에 대해 “헌법을 개정하면 누구에게 불리하고 유리하고 그런 생각은 없다. 그런 요소가 있다면 빼야 한다”며 “선거법, 행정구역 개편 조항 등을 시대에 맞게 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3주년 개각설에 대해 “개각은 없다”고 일축한 뒤 “3주년 되고 이런 정치적 동기는 필요 없다. 필요하면 필요할 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관계와 관련 이 대통령은 “”6자회담이든, 남북회담이든 북한이 자세를 바꿔야 한다“며 ”바뀌어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하려면 정말 진지하고 진정한 토론을 해야 한다“며 ”필요하면 (남북) 정상회담도 할 수 있다. (북한이) 책임을 보여야 한다“고 북한의 변화를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또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한 대응을 하는 게 오히려 도발을 줄이는 것“이라며 ”도발 걱정해서 참고, 참고 했는데 여러 상황을 봐서 북한도 이제는 다른 생각하지 않겠는가. 도발만 가지고 안 되겠다 생각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대통령은 구제역의 초기 대응 미숙 논란과 관련 ”초기에 더 완벽하게 (대처) 할 수 없었을까 생각도 한다“며 ”안동에 있다가 경기도 북쪽으로 사료 차가 갔다고 그런다. 그런 점에서 안동 주위만 챙겼다고 해서 초동 대처가 미숙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서민 복지분야에 대해 이 대통령은 ”서민을 위해 복지를 강화해야 한다“며 ”지금도 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규제 등 아직 미숙한 게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부자에 대한 복지를 보편적으로 강화하는 것은 시기적으로도 안 맞고 국방비를 쓰는 나라로써 맞지 않는다“며 ”삼성그룹 회장 같은 분 손자손녀야 무상급식 안 해도 되지 않겠느냐. 무상으로 가면 감당 못한다“고 무상급식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