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대전시당이 1일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 파기 발언과 관련해 규탄대회를 열고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을 반드시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백지상태 결정’이라는 폭탄 발언이 나오자 충청권이 민심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이 대통령은 1일 청와대에서 ‘대통령과의 대화, 2011 대한민국은’이라는 제하의 신년 방송 좌담회에서 “(과학벨트는) 국가백년대계니까 공정하게 과학자들이 모여서 결정하도록 해야한다”며 백지상태에서 모든 것을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이 대통령의 발언이 텔레비전 생중계를 통해 충청권에 알려지면서 충청민심이 험악해지고 있다.

송인섭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은 “충청 지역민을 포함한 모든 국민들과 약속한 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를 대통령이 명시하지 않은 것은 실망”이라며 “여러가지 정치적인 배경을 제외하고 소모적인 논쟁과 국론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통령의 공약이자 국민과의 약속인 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를 명확하게 지정·고시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박희원 대전충남경영차총협회장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국가적으로 유익한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연구기반 등 각종 인프라가 이미 40년 전에 갖춰진 대전·충청권에 오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충청인들의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향후 과학기술과 국가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운복 전국공공연구노조 위원장은 “아무리 정치인이고, 표를 얻기 위해서라고 해도 국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면 안되는 것 아닌가, 충청권 공약 사항이던 과학벨트를 백지에서 다시 출발한다면 이 것은 헛공약을 내건 것으로,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용갑 대전 중구청장은 “지도자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존재한다”고 전제한 뒤 “과학벨트는 반드시 충청권에 조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대통령의 일방적 공약파기에 분노와 안타까움을 느낀다”면서 “이미 대통령이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약속했고 과학기술계에서도 세종시 중심 조성을 천명했다”고 말했다.

황인호 동구의회 의장은 “대한민국 지도자가 스스로 공약을 헌 신짝처럼 내버리는 망언을 한 것”이라면서 “전 국민이 보는 공식적 자리에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는 것은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고 말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김형돈·성광진·이현주 공동의장은 ‘세종시 수정논란에 이어 또다시 충청민을 기만하는 이명박 대통령을 규탄한다’는 성명을 통해 “일국의 대통령이 한 약속이 이렇게 허무하게 손바닥 뒤집듯 할 수 있는 것인지 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한 국민으로서 부끄러움을 금할 수 없다”고 일갈했다.

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의장단은 또 “지난 2007년 대선에서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은 충청권 표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이제 와서 정치적 사안이다 보니 혼선이 있었다는 변명으로 얼버무리는 대통령의 가벼운 상황인식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며 “불필요한 국론분열과 정부정책의 신뢰성에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되는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약속 백지화계획을 이명박 정부는 지금 당장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는 “세종시의 경우 대통령 스스로 설계한 것이 아니라 지난 정부의 정책을 승계했지만 과학벨트는 본인이 후보시절 충청권 표를 얻기 위해서 직접 약속한 사안”이라며 “과학벨트를 내세워 충청지역에서 표를 얻어 결국 당선됐다는 점에서 정책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거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본사종합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