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에서 체벌을 전면 금지시킨 후, 이에 동참하지 않은 타 지역의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까지도 "체벌을 하지 말라고 했는데 왜 학생을 때리느냐"며 반발하는 현상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체벌지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체벌을 해서는 안된다'는 의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체벌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11월 만 19세부터 65세까지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에 따르면 '체벌지도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의 67.7%를 차지해 체벌금지 이후에도 체벌지도의 필요성은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2006년에도 응답자의 72%가 '체벌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2008년에도 63.8%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벌지도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간접체벌' 허용 방침을 밝힌 이후에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온라인 교육기업인 메가 스터디가 지난달 14일부터 18일까지 전국의 중고생 2만 39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체벌 전면금지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8.6%인 1만 1643명은 '체벌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는 '체벌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중고생 (39.9%, 9540명)보다 8.7%나 높은 것으로 성인은 물론 체벌 대상자인 학생들까지도 체벌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학교체벌에 찬성한다고 답변한 학생들은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힌 경우가 35.1%(4083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한 '일부 학생들 때문에 학습권이 침해당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26.4%(3072명)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체벌이 없으면 교권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중고생이 21.3%에 이르는가 하면 '적절한 체벌은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13.6%로 나타나 학생들도 학교체벌 금지로 인해 교권이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학부모 김 모(45·여·청주시 상당구) 씨는 "중학교에 다니는 딸로부터 서울시교육청에서 체벌을 하지 못하게 한 뒤 일부 급우들도 선생님께 대드는 모습을 보기도 했다는 말을 들었다"며 "교육을 위해서라면 부득이한 경우 체벌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