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내년에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는 충남도청 이전부지 활용과 관련해 미숙한 대응으로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웠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뚜렷한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채 원점에서 맴돌고 있고,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사업인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 건립 사업도 완전 백지화되는 등 지역차원에서의 전략적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충남도청과 충남지방경찰청, 충남도교육청 등 주요 기관들이 내년부터 내포신도시로 이전이 시작된다.
문제는 대전시청이 지난 1999년 중구 대흥동에서 서구 둔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중구와 동구 등 원도심의 공동화 현상은 10년 째 지역의 골칫거리로 남아 있다.
때문에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 건립'을 대선공약으로 발표했지만 당선과 동시에 백지화됐고, 민선4기 대전시도 이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현 위기를 초래했다.
시는 지난해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민선5기 공약사업을 발표하고, 도청 이전부지를 문화·상업·교육 시설이 집적된 한밭문화예술 복합단지로 조성한다고 발표하고, 현재 관련 용역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 사업에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소요되고, 현 부지의 소유권 등의 문제로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실제 충남도청사는 도청사 부지 2만 5456㎡와 충남경찰청사 부지 1만 2322㎡를 포함, 모두 3만 7778㎡에 달하지만 소유주체가 충남도와 경찰청 소유로 이원화됐다.
또 지난 2002년 본관 건물 1·2층이 등록문화재 18호로 지정되면서 근대문화유산으로 관리(문화재청)되고 있어 민간개발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관련 전문가들은 “대전시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웠다”며 “충남도청 이전 계획이 예전부터 나온 만큼 충남도청 이전에 맞춰 이 부지를 시청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도 충남도청 이전부지 활용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정부는 전남도청 이전 시 건축비와 부지매입비는 물론 이사비 등 이전비용 1687억 원 전액을 국비 지원했으며, 당시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조항도 없었던 게 사실이다.
결국 당시 근거도 없는 고무줄 지원에 앞장섰던 정부가 최근에는 대통령 공약사업까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지역의 정치적 역량을 결집, 중앙에 전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 2005년 전남도청이 이전한 후 이전부지에 대한 활용에 대한 잘못된 정책적 판단으로 수만 명의 인구가 감소하는 등 심각한 공동화 현상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