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人事)가 만사(萬事)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공직사회에서 인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특히 인사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그 평가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 청주시 또한 민선5기 출범 이후 끊이지 않는 조직내 인사불만을 불식시키기 위해선 직원들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 인사기준 개선안을 서둘러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직원들의 불만과 행정전문가들의 지적을 종합해보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청주시 인사 개선방안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째, 연공서열과 능력에 따른 발탁 인사의 적절한 배분이다. 민선5기 청주시는 지난해 7월과 올해 1월 인사를 단행하면서 연공서열을 가장 중시했다. 이렇다보니 상대적으로 젊은 직원들 사이에선 "어차피 연공서열대로 갈텐데 열심히 일해서 무엇하느냐"는 식의 불만으로 조직이 침체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를 고수하기 보다는 능력위주 발탁인사와의 적절한 배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즉 연공서열과 능력위주 발탁인사의 비율을 50대50 또는 60대40 등 기준과 원칙을 확실히 정하고 이행해야만 조직의 조화와 활기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둘째, 인사청탁의 철저한 차단이다.

청주시는 선거직후 첫 인사부터 선거결과에 따른 논공행상 논란을 시작으로 최근 공원녹지과장직을 두고도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민선 단체장 이후 이같은 현상이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것을 보면 결국 연공서열 또는 능력이 아닌 인사청탁이 지금껏 통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완벽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지만 인사청탁이 감지됐을 때 사실여부를 분명히 밝히고,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해당 공무원에게 페널티를 부여하는 방안을 명문화하는 단체장의 의지가 필요하다.

셋째, 사업부서와 지원부서의 공평한 평가 및 전문성 강화다.

청주시 공무원들의 경우 교통행정과, 청소행정과 등 시민들과 직접 상대하는 '사업부서'보다 총무과, 기획예산과 등 정책 및 계획수립을 주업무로 한 '지원부서'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구청이나 사업소에서 본청 전입시 사업부서에 먼저 배치하고, 이를 거쳐야한 지원부서로 옮길 수 있는 보직경로가 3~4년 전부터 유지돼 왔기 때문이다.

결국 지원부서 중심으로 근평을 잘 받거나 승진을 하게 되니 자연스럽게 사업부서를 기피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 하지만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행정이 이뤄지는 곳이 '사업부서'임을 감안하면 단순히 보직경로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공평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아울러 부서의 특수성을 감안한 인력배치로 전문성 강화도 도모해야 한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인사라는 것 자체가 상대성을 가지다 보니 잘했다, 잘못했다라는 평가 자체가 조심스러운 사안"이라며 "다만 조직원을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인사방안 마련을 위해 여러 작업을 내부적으로 착수한 상태"라고 말했다.<끝>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글 싣는 순서>

상. 예측 불가능한 인사(?)

중. 업무특성 고려치 않아 빈축

하. 명확한 인사기준 절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