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전·의경 부대 내 가혹행위 근절을 위해 대대적인 특별점검을 진행하자 그간 소문만 무성하던 실상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소원수리’ 결과, 대전과 충남지방경찰청 소속 전·의경 중 일부가 가혹행위가 있었다는 내용을 써낸 것으로 알려져 지방청 관계자들이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27일 대전과 충남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날 경찰청이 특별점검팀을 꾸려 서울과 경기, 인천, 충남, 대전 등 5개 지방청에서 부대 배치 6개월 미만 전·의경 2334명(117개 중대)을 대상으로 구타 및 가혹행위 사례를 접수했다. 대전과 충남청에서는 각각 74명(4개 중대)과 85명(4개 중대)이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원수리 결과, 가혹행위를 써낸 전·의경은 서울이 116명(전체 1408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43명(전체 542명), 인천 14명(225명) 등이며 대전과 충남에서도 각각 9명이 포함됐다. 가혹행위를 당했다는 전·의경 중 69명은 맞은 적이 있다고 썼고, 나머지 122명은 가혹행위나 언어폭력을 당했다고 진술했다.

구타나 가혹행위 사례는 암기사항 강요나 TV 시청 금지, 양손을 가슴에 얹고 부동자세로 똑바로 누워 자게 하는 등 유형도 다양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지방청 경찰의 참여를 배제한 가운데 경찰청 소속 간부들이 직접 자체 점검을 실시하면서 경찰들이 매우 답답해하고 있다.

또 경찰청이 ‘소원수리 후 문책’이라는 방침을 세운데다 지난 23일 구타와 가혹행위를 견디다 못해 전경 6명이 집단 이탈한 강원경찰청 307전경대 사건과 관련해 경찰관 5명이 파면·해임 등 중징계를 받으면서 향후 점검결과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게다가 총경급 이하 보직 인사를 코앞에 둔 상황에서 전·의경 부대 관련 중대장 및 소대장들의 줄 징계가 이어질 경우 집단 인사 반발 움직임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전의 한 경찰 관계자는 “큰 걱정은 안하지만 워낙 민감한 부분이라 다소 걱정은 있다”며 “연일 계속되는 전·의경 관련 사건으로 직원들 사이 부대 지휘요원 보직을 받는 것을 꺼리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강원과 경북 등 나머지 11개 지방청 소속 3000여 명의 신참 전·의경을 대상으로 소원수리를 받은 후 구타 및 가혹행위가 사실로 밝혀지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부대 지휘 요원도 징계 또는 형사 입건할 계획이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