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청이 발행하고 있는 ‘온누리상품권’이 홍보 부족으로 인해 ‘공무원 전용 상품권’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온누리상품권은 도입 초기인 지난 2009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전국적으로 1300억 원이 발행됐고 초 858억 원이 판매됐다.
이 중 대전지역은 44억 805만 원, 충남은 15억 175만 원이 판매돼 전국 판매액의 6.8%를 차지했다.
그러나 온누리상품권 구매자 대부분이 공무원 또는 공사 및 공단 직원에 한정고 있다는 것은 상품권을 발행한 중소기업청의 골칫거리다.
실제 대전시는 올해 온누리상품권 판매액 목표를 30억 원으로 설정하고 판매 활성화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지난 26일 대전시가 1억 5000만 원, 통계청 1억 원, K-Water 5억 원 등 모두 7억 원 이상 온누리 상품권을 구입했고, 조폐공사 등 관내 주요 기관·단체에서도 3억 원 상당의 상품권을 추가로 구입키로 했다.
이처럼 지자체와 공사 및 공단 등이 구매에 나서고 있지만 일반 시민들은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해 본 경우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일부 시민들은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홍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석종훈 전국상인연합회 부회장은 “일부 시장의 경우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을 판매해 본 상인들이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라며 “상품권 구입시 3% 할인 등 혜택을 언론에서 홍보해 주면 좋겠는데 생각보다 홍보가 잘 안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에 타 지역과는 달리 대전·충남지역은 지방은행이 없는 지역적 특성도 온누리상품권의 홍보 부진에 한 몫을 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온누리상품권은 전국새마을금고와 우체국, 기업은행 이외에도 부산·대구·전북·광주·경남은행 등 5개 지방은행에서 판매되고 있다.
반면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지방은행이 없다보니 대전과 충남에 각각 12곳과 17곳의 지점만을 보유한 기업은행만이 은행권에선 유일하게 상품권을 판매하고 있다.
물론 우체국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판매 사실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판매처의 수가 타 지역보다 적을 수 밖에 없어 홍보가 부진할 수 있다는 것이 관계 기관의 설명이다.
대전충남지방중소기업청 관계자는 “다행히 대전지역은 공무원이나 공사·공단의 수가 많아 판매량은 무난한 편”이라면서도 “판매처가 적으면 일반 시민들이 접할 기회 역시 적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온누리상품권은 도입 초기인 지난 2009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전국적으로 1300억 원이 발행됐고 초 858억 원이 판매됐다.
이 중 대전지역은 44억 805만 원, 충남은 15억 175만 원이 판매돼 전국 판매액의 6.8%를 차지했다.
그러나 온누리상품권 구매자 대부분이 공무원 또는 공사 및 공단 직원에 한정고 있다는 것은 상품권을 발행한 중소기업청의 골칫거리다.
실제 대전시는 올해 온누리상품권 판매액 목표를 30억 원으로 설정하고 판매 활성화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지난 26일 대전시가 1억 5000만 원, 통계청 1억 원, K-Water 5억 원 등 모두 7억 원 이상 온누리 상품권을 구입했고, 조폐공사 등 관내 주요 기관·단체에서도 3억 원 상당의 상품권을 추가로 구입키로 했다.
이처럼 지자체와 공사 및 공단 등이 구매에 나서고 있지만 일반 시민들은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해 본 경우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일부 시민들은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홍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석종훈 전국상인연합회 부회장은 “일부 시장의 경우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을 판매해 본 상인들이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라며 “상품권 구입시 3% 할인 등 혜택을 언론에서 홍보해 주면 좋겠는데 생각보다 홍보가 잘 안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에 타 지역과는 달리 대전·충남지역은 지방은행이 없는 지역적 특성도 온누리상품권의 홍보 부진에 한 몫을 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온누리상품권은 전국새마을금고와 우체국, 기업은행 이외에도 부산·대구·전북·광주·경남은행 등 5개 지방은행에서 판매되고 있다.
반면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지방은행이 없다보니 대전과 충남에 각각 12곳과 17곳의 지점만을 보유한 기업은행만이 은행권에선 유일하게 상품권을 판매하고 있다.
물론 우체국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판매 사실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판매처의 수가 타 지역보다 적을 수 밖에 없어 홍보가 부진할 수 있다는 것이 관계 기관의 설명이다.
대전충남지방중소기업청 관계자는 “다행히 대전지역은 공무원이나 공사·공단의 수가 많아 판매량은 무난한 편”이라면서도 “판매처가 적으면 일반 시민들이 접할 기회 역시 적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