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1년 전 정부가 나서서 ‘세종시가 과학벨트 조성의 최적지’라고 밝힌 자료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1월 11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세종시가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적합하다’고 밝힌 데 이어, 충청투데이가 단독 입수해 보도(1월 25·26일자 1면)한 교과부의 ‘광역권 입지선정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가 객관적으로 최상이라는 구체적 데이터가 나왔다.

이번엔 과학벨트 사업을 주관하는 교과부의 수장인 안병만 당시 교과부 장관이 한국정책방송인 KTV에 직접 출연해 세종시에 과학벨트를 건설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던 것으로 확인됐다.

안 장관은 지난해 1월 17일 ‘KTV 정책대담’에서 “세종시에 들어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미국(실리콘밸리)과 독일(드레스턴)의 과학도시가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과학벨트의 성공을 위해선 기업이 반드시 같이 있어야 하고, 과학과 비즈니스가 함께하는 연구시설, 대학 기능이 있어야 한다”라며 “세종시를 그런 도시로 만들려는 것이 정부의 디자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세종시의 과학벨트는 기초과학 분야를 제공하고, 이는 주변의 오송·오창, 대덕으로 확산된다”라며 “이것은 작은 벨트이고 서남벨트와 동남벨트, 대구·울산, 광주와 연결되면 전국 벨트가 형성된다. 세종시가 이 같은 중요한 역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이 이 같은 발언을 한 시점은 교과부가 ‘세종시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적합하다’는 내용으로 9장 분량의 보도자료를 낸 직후였다.

보도자료에는 세종시가 도시기반계획이 완성되어 있어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가칭)국제과학대학원 건설을 즉시 시작할 수 있고, 인근의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연구소, 기업연구소, 기업, 대학들이 집적돼 있어서 연계 발전시키기 좋은데다 우수한 연구인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전국에서 2시간 내 접근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전국 주요 도시의 대학, 연구기관, 기업과의 연계발전이 우수한 것도 세종시의 강점으로 꼽았다. 안 장관의 KTV 출연은 이 같은 정부의 입장을 홍보하고,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를 재확인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정치권은 물론 과학계 등은 “정치적 배경을 떠나 과학분야 정책을 최종 책임지는 장관의 발언은 분명히 지켜져야 한다”라며 “교과부는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반응이다.

대덕연구단지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세종시 수정안 논란 당시 정부가 세종시를 교육과학도시로 만들려는 계획 중에 대통령 공약인 과학벨트를 끄집어낸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그렇지만 당시 정부는 과학적 근거 등을 제시하면서 세종시를 과학벨트의 최적지로 밝힌 이상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