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6일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려 박상덕 대전시 행정부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번 보고회는 대전발전연구원에서 1년간 자료조사 및 연구를 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속보>= 대전 하수처리장의 완전 이전을 위해서는 대규모 민간자본 유치가 최대 관건으로 대두됐다.
유성구 원촌동에 위치한 현 대전 하수처리장을 갑천 하류 지역으로 이전해 지하화 시설로 건립할 경우 현 부지를 활용, 사업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기술로 운영하면 그만큼 유지관리비가 절감되고, 오정동 위생처리장 문제도 해결되는 등 최적의 대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26일 ‘대전시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 원촌동 하수처리시설이 노후화된 데다, 이 일대가 도심권으로 편입되면서 이전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갑천 하류 대덕연구개발 특구의 대동·금탄지구에 원촌동 시설을 이전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됐다.
시는 오정동 위생처리장까지 통합해 대동·금탄지구에 하수처리시설을 조성하면 폐기물 처리비를 절감하는 한편 2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국내 폐기물 에너지화기술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처리시설을 완전 지화화해 민원 발생을 줄이고, 상부 공간은 복합체육공원 및 태양광발전시설, 골프장 등 주민복지시설로, 현 원촌동 부지는 공동주택단지·타운하우스·상업중심복합단지로, 오정동 위생처리장은 공원화 시설로 각각 활용할 예정이다.
또 시나리오별 경제적 타당성에서도 완전 이전에 따른 B/C는 0.90으로 가장 높았으며, 뒤 이어 현 시설 개량이 0.67, 현 시설의 지하화 0.62, 부분 이전 0.61 등으로 분석됐다. 사업추진방식은 민간투자와 민관공동출자 방식, 재정사업(턴키) 방식 등 총 세 가지로 조성에서 완공까지 총 소요되는 예상기간은 10~12년이다.
그러나 이전에 따른 천문학적인 사업비를 국가·지방재정 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는 이를 위해 현 하수처리장을 갑천 하류로 이전할 경우 금강의 수질개선에 기여하는 만큼 4대강 사업에 반영시켜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는 한편 민간자본 유치에 대비, 사업자 선정을 위한 행정적 절차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현 시설을 개량하거나 지하화하는 것보다는 완전히 이전하는 것이 경제적 타당성이나 파급효과, 환경의 질 개선 등의 차원에서 최적의 대안”이라면서 “이번 사업이 금강 수질개선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켜 정부에 국비지원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