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경제계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송인섭)는 26일 지역 경제계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건의문을 채택, 청와대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에 한 목소리를 낸 경제단체는 대전상공회의소를 비롯,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충남무역상사협의회, 대전산업단지, 대덕산업단지관리공단,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충남지회, 한국여성벤처협회 대전·충청지회 등 9개다.
이들 경제단체는 이날 건의문을 통해 충청권이 과학벨트의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대 국민에게 약속한 공약사항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그 동안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과학기술계가 충청지역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서 최적지임을 수차례 밝혀온 것과는 달리 최근 ‘전국 공모설’이 불거져 나오는 것에 대해 지역 경제계는 소모적인 논쟁과 국론분열 방지를 위한 조속한 공약 이행 촉구에 힘을 모으기로 결의했다.
이들은 건의문을 통해 “충청지역은 이미 과학벨트 입지를 위한 연구개발, 행정, 생산, 비즈니스 등 다양한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있어 예산 절감 등 효율적인 국책사업전개가 가능하다”며 “우수한 지리적 접근성과 지난 30여 년간의 축적된 연구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충청권이 대한민국의 기초과학과 지식산업 육성에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지난해 과학벨트 특별법이 국회에서 처리됐지만 법안에 충청권이 명시되지 않아 정부정책에 대한 지역민들의 배신감과 불신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며 “정부는 일체의 정치적 고려없이, 더 이상의 소모적 논쟁과 국론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를 조속한 시일내에 지정·고시해 줄 것”을 명시했다.
지역 경제계는 향후 정부 및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충청입지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한편, 각종 협의회 및 국민 서명운동에도 적극 협력하는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사수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송인섭)는 26일 지역 경제계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건의문을 채택, 청와대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에 한 목소리를 낸 경제단체는 대전상공회의소를 비롯,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충남무역상사협의회, 대전산업단지, 대덕산업단지관리공단,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충남지회, 한국여성벤처협회 대전·충청지회 등 9개다.
이들 경제단체는 이날 건의문을 통해 충청권이 과학벨트의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대 국민에게 약속한 공약사항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그 동안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과학기술계가 충청지역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서 최적지임을 수차례 밝혀온 것과는 달리 최근 ‘전국 공모설’이 불거져 나오는 것에 대해 지역 경제계는 소모적인 논쟁과 국론분열 방지를 위한 조속한 공약 이행 촉구에 힘을 모으기로 결의했다.
이들은 건의문을 통해 “충청지역은 이미 과학벨트 입지를 위한 연구개발, 행정, 생산, 비즈니스 등 다양한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있어 예산 절감 등 효율적인 국책사업전개가 가능하다”며 “우수한 지리적 접근성과 지난 30여 년간의 축적된 연구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충청권이 대한민국의 기초과학과 지식산업 육성에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지난해 과학벨트 특별법이 국회에서 처리됐지만 법안에 충청권이 명시되지 않아 정부정책에 대한 지역민들의 배신감과 불신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며 “정부는 일체의 정치적 고려없이, 더 이상의 소모적 논쟁과 국론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를 조속한 시일내에 지정·고시해 줄 것”을 명시했다.
지역 경제계는 향후 정부 및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충청입지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한편, 각종 협의회 및 국민 서명운동에도 적극 협력하는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사수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