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황식 국무총리가 25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방문해 영상통화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인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에서 진화한 4세대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어드밴스드(Advanced)’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이날 세계 최초로 서비스를 시연했다.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권 최대 공약 중 하나였던 과학벨트 조성과 관련 지난 6일 임기철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이 대덕연구단지를 방문해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과학벨트 선정 기준 평가 항목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해 촉발된 ‘공약 파기’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만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와 정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충청권 출신으로 충청인의 정서를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과학벨트와 관련 “(도민들에게) 차분하게 인내하며 기다려 달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라고 밝혀 의미를 더하고 있다.
또한 김황식 총리도 이날 과학벨트는 공모를 통해 입지를 선정하지 않겠다고 밝혀 발언의 의미와 해석에 충청인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공모를 통해 입지를 선정하지는 않을 것이고 (과학벨트)특별법의 요건과 절차에 따르겠다”고 밝혀 과학벨트 선정에서 정치적 입장을 배제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 등을 비롯한 당 지도부의 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고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 브리핑에서 “김 총리가 과학벨트 입지 선정에서 공모 절차를 절대로 밟지 않겠다고 밝혔다”면서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과학적 관점에서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총리는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대선 공약과 관련, “대통령의 공약이 법과 같은 구속력을 가질 수는 없지만 충분히 존중돼야 한다”고 밝혀 사실상 충청권 공약 이행을 시사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가 또다시 세종시와 같은 국론분열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면서 “과학벨트는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공약이었던 만큼 반드시 충청권으로 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근찬 최고위원도 “특별법은 국회에서 여당이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법인데 그런 특별법을 준수하겠다는 것 자체가 정치적 꼼수”라며 정치적 입지 선정 여부에 우려를 표명했다.
이날 방문에는 이명수 의원, 황인자 최고위원 등이 동참했다.
아울러 충청권 출신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과학벨트와 관련 도민들에게 차분하게 인내하며 기다려 달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충청권에서 과학벨트와 관련 강력한 의사를 표출할수록 다른 지역에서도 정치 쟁점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 연말에 국회에서 통과된 과학벨트특별법이 오는 4월 5일이면 효력을 발휘하는 만큼 그때 가서 법에 정한대로 위원회를 발족시켜 모든 것을 결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의형 기자 eulee@cctoday.co.kr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