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대구 등의 특구 추가 지정에 대한 대전권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가 진화에 나섰다.
지경부의 박종구 연구개발특구기획단장은 24일 대덕특구본부를 방문해 기자회견을 갖고 “대덕특구가 이번 특구 추가 지정으로 위상이 축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단장은 특구 추가 지정에 대한 자원 나눠먹기 등의 부작용으로 대덕특구의 기능 위축을 우려하는 질문에 대해 이 같이 말하며 “대덕특구가 이로 인해 예산상의 피해를 보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실제 올해 대덕특구 예산은 지난해(431억 원)보다 오히려 더 늘었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전에 보다 선택과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냉정한 고민 필요하다”면서 “그러나 광주나 대구보다는 대덕을 혁신시키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혔다.
대구, 광주 등으로 기존 대덕특구에 자리잡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시설 등의 관련 인프라가 유출될 가능성도 일축했다.
박 단장은 “특구에 대해 정부의 하드웨어적 지원은 없다”면서 “혁신클러스터는 기술 흐름과 파이낸싱이 핵심인 만큼 특구가 지정됐다고 연구시설까지 지원되는 것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이번 특구 추가 지정의 정치적 작용에 대한 질문에 대해 박 단장은 “적어도 이번 특구 진행 과정 이후로 정치성은 없었다”며 “일부 지역 국회의원이나 정치인들이 특구로 지정되면 엄청난 시설을 해주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데 그건 아니다”고 덧붙혔다.
또 대덕특구에 대한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는 특구에 대한 정부 지원을 15년 프레임으로 볼 때 대덕은 앞으로 10년 가량 남은 셈”이라며 “차차 정부 지원을 줄여나가고 대신 민간이 그 자리를 채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단장은 광주, 대구 외에도 현재 특구지정을 신청했거나 신청을 고려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더 이상 추가 지정이 없을 것임을 내비쳤다.
박 단장은 “현재 특구지정을 신청한 부산과 전주 등이 선정되지 않을 것”이라며 “또 특구신청을 고려하고 있는 창원 등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는 지난달 말 지경부에 충주와 진천, 청원 등을 태양광 특구로 지정해 줄 것을 신청한 상태다. 한편 이번 특구 추가 지정으로 대덕특구본부는 특구본부로 격상돼 전국의 특구를 총괄하게 된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지경부의 박종구 연구개발특구기획단장은 24일 대덕특구본부를 방문해 기자회견을 갖고 “대덕특구가 이번 특구 추가 지정으로 위상이 축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단장은 특구 추가 지정에 대한 자원 나눠먹기 등의 부작용으로 대덕특구의 기능 위축을 우려하는 질문에 대해 이 같이 말하며 “대덕특구가 이로 인해 예산상의 피해를 보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실제 올해 대덕특구 예산은 지난해(431억 원)보다 오히려 더 늘었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전에 보다 선택과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냉정한 고민 필요하다”면서 “그러나 광주나 대구보다는 대덕을 혁신시키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혔다.
대구, 광주 등으로 기존 대덕특구에 자리잡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시설 등의 관련 인프라가 유출될 가능성도 일축했다.
박 단장은 “특구에 대해 정부의 하드웨어적 지원은 없다”면서 “혁신클러스터는 기술 흐름과 파이낸싱이 핵심인 만큼 특구가 지정됐다고 연구시설까지 지원되는 것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이번 특구 추가 지정의 정치적 작용에 대한 질문에 대해 박 단장은 “적어도 이번 특구 진행 과정 이후로 정치성은 없었다”며 “일부 지역 국회의원이나 정치인들이 특구로 지정되면 엄청난 시설을 해주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데 그건 아니다”고 덧붙혔다.
또 대덕특구에 대한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는 특구에 대한 정부 지원을 15년 프레임으로 볼 때 대덕은 앞으로 10년 가량 남은 셈”이라며 “차차 정부 지원을 줄여나가고 대신 민간이 그 자리를 채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단장은 광주, 대구 외에도 현재 특구지정을 신청했거나 신청을 고려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더 이상 추가 지정이 없을 것임을 내비쳤다.
박 단장은 “현재 특구지정을 신청한 부산과 전주 등이 선정되지 않을 것”이라며 “또 특구신청을 고려하고 있는 창원 등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는 지난달 말 지경부에 충주와 진천, 청원 등을 태양광 특구로 지정해 줄 것을 신청한 상태다. 한편 이번 특구 추가 지정으로 대덕특구본부는 특구본부로 격상돼 전국의 특구를 총괄하게 된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