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부시장 후임인사가 시와 행정안전부의 맞교류 형식으로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전해지자 그 배경에 관심에 쏠리고 있다. 게다가 전보인사가 강등(이사관에서 부이사관) 조건이란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공직사회의 자존심과 명예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23일 충북도와 청주시 등에 따르면 행안부 전출을 시도하고 있는 정정순 부시장(지방이사관)이 이달 말 또는 오는 2월 초 곽임근 행안부 윤리복무관과 맞교류하는 것으로 부시장 인사가 단행될 예정이다.

이번 인사는 일반적으로 청주부시장 인사권을 가진 도의 선택이 아닌 도를 통해 형식만 취했을 뿐 사실상 중앙정부와 시가 직접 맞교류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특히 정 부시장이 2급 지방이사관에서 3급 부이사관으로 강등된 뒤 고위공무원단 포함을 위해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중앙정부행을 선택하자 더욱더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해 초 청주부시장에 임명된 정 부시장은 6·2지방선거 이후 충북도로의 복귀가 점쳐졌다. 그러나 이시종 현 지사가 정우택 전 지사 시절 이사관으로 승진된 정 부시장을 중앙부처와의 인사교류 카드로 꺼내들었고, 정 부시장이 이를 거부하자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때문에 지난 지방선거 당시 정 부시장이 낙선한 정 전 지사를 지원했다는 소문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민선시대 이후 이어져온 ‘공직사회 줄서기’ 폐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껄끄러운 관계가 이어지면서 당분간 도로의 복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 정 부시장은 결국 차선책으로 중앙정부행을 선택했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지사의 중앙 전출 요구를 강하게 거부했던 정 부시장이 이번에는 한범덕 시장 등의 인맥을 통해 인사교류 의사를 적극적으로 피력했다는 후문 또한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결국 부시장으로의 기약없는 기다림 보다는 중앙정부행을 선택, 강등된 직급을 1년여 후 회복한 뒤 중앙부처에서 승진을 노리거나 이 지사 임기 말기에 도로 복귀한 뒤 승진 기회를 엿보려는 노림수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정 부시장의 이같은 선택을 바라보는 지역관가의 시각은 그리 곱지만은 않다.

정 부시장의 후임으로 지목된 곽 윤리복무관이 충북지역 출신이 아닌데다 지역연고가 지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1년여 간 충북도 자치행정국장과 문화관광환경국장을 지낸 것뿐이다 보니 부시장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또 도청 내에서는 비정상적 인사의 전례가 생기면 앞으로 상당수 공직자들이 승진이나 보직을 위해 중앙정부에 줄을 대는 역효과가 생길 것이란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 고위공직자는 "개인의 안위도 중요하지만 공직사회에 미칠 영향과 지역정서를 고려해야하는것도 고위공직자의 미덕"이라며 "이로 인해 반사적으로 불이익을 보거나 실추된 도청 공무원들의 명예를 어떻게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또 한 지역인사는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결코 선거와 무관치 않다"며 "공무원들이 직간접적으로 선거에 개입하다 보니 선거결과에 따라 각종 인사문제가 반복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만약 정 부시장의 경우 정 전 지사가 재선에 성공했을 경우 도청이나 중앙부처에서 2년여 근무한 뒤엔 부지사를 염두했을 터인데 지방권력이 바뀌어 진로가 선회된 것과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