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권익을 대변하기 위해 설립된 중소기업중앙회 충북본부가 중앙회의 정책에 역행하며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 충북본부에 따르면 중앙회의 올해 주요 사업 중 하나인 ‘청년인턴 지원사업’을 충북본부는 중앙회와 협의 없이 멋대로 중단방침을 내렸다.

충북본부가 타 기관과의 업무 중복에 따른 실적저조를 이유로 청년인턴 지원사업을 사업대상에서 제외한 것.

지난 17일 중기중앙회는 ‘2011 주요 사업계획 및 정책과제’를 발표, 이 중 노동인력분야 애로사항에 선제로 대응하고 5인 미만 콘텐츠 중소기업에 청년인턴을 지원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특히 중기중앙회는 지난 2008년부터 청년인턴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콘텐츠산업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음에도 산업현장에서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올해부터 지원을 5인 미만 콘텐츠산업으로까지 확대했다.

이 같은 청년인턴 지원사업은 인턴을 수료하면 대부분 정규직으로 전환되고 있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청년층 실업 해소와 중소기업의 만성적인 인력난 완화에 크게 이바지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중앙회의 적극적인 사업 시행 의지에도 충북본부는 지난해 단 한 차례만 실시한 채 올해는 계획조차 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올해 새롭게 지원 확대된 5인 미만 콘텐츠산업 지원도 의지조차 내비치지 않고 있어 조직 내에서 현안 사업에 대한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난해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발표한 '충북지역 인적자원 현황 및 활용 제고 방안'을 살펴보면 충북지역 청년층(20~29세) 인구는 지난 1995~2009년 중 6만 5000명(연평균 4000명)이 충북 외 고용시장 등으로 빠져나갔다.

이처럼 청년인턴 사업이 답보상태를 보이면서 현재까지도 청년 인력들이 지역을 등지고 취업하는 경향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도내 중소기업의 인력 수급난은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실제 중기중앙회가 지난해 8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보면 ‘인력이 부족하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12%에 달했으며, 이에 따라 51.2%의 기업이 채용 계획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기중앙회 충북본부 관계자는 "지역별로 사업 시행 시기에 대한 차이는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지난해 한차례 청년인턴 사업을 해봤지만 여러 기관에서 사업하다 보니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올해부터는 제외시켰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청년인턴 사업은 중앙회에서 올해의 사업계획으로 정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중앙회에서 목표로 정한 사업계획에 대해 지역본부가 마음대로 사업 가능 유무를 판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