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구가 관내 공용주차장 민간위탁과 관련해 특정단체에 대한 밀어주기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주차장 세외수입과 위탁 낙찰가가 현저한 격차를 보이며, 특혜 의혹마저 일고 있다.

23일 대전 중구청에 따르면 구는 올해 기간제 근로자 채용에 따른 주차장 관리·운영의 어려움을 이유로 민간 위탁을 결정하고, 내달부터 연말까지 113면 규모의 선화동 제1노외주차장을 관내 A 단체에 위탁했다.

문제는 A 단체가 제한경쟁 입찰을 통해 낙찰 받은 금액이 701만 원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선화동 제1노외주차장은 지난해에만 약 2940만 원의 세외수입을 거둬들이는 등 자치구 세원에 큰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주차장 민간위탁은 중구가 심각한 재정난에 허덕이면서도 상당액의 세외수입을 스스로 포기한 셈이다.

게다가 중구는 애초 입찰참가 자격으로 국가보훈처 등록 대전시 국가유공자 단체로 제한했다.

더욱이 경쟁 입찰에도 불구하고 단독 응찰한 A 단체를 통상 시행하는 재입찰 과정을 생략하고, 최종낙찰자로 선정해 밀어주기 의혹마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구가 이미 특정단체를 사전 낙점한 상태에서 구색만 갖추기 위한 경쟁 입찰을 진행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는 지난해 문화동 병무청 앞 노상주차장 경쟁 입찰과는 명백한 대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병무청 앞 노상주차장은 27면의 소규모 주차장인데도 불구하고, 지난해 12월 경쟁 입찰에 3명이 응찰해 최종 2480만 원에 낙찰됐다.

하지만 지난해 이 주차장의 수입은 1600만 원에 불과해 오히려 입찰에 따른 차익을 중구가 수혜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선화동 제1노외주차장은 중구 관내 총 18개소의 민간 위탁운영 주차장 계약가격과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제 비슷한 규모의 선화동 충남도청 뒷길 노상주차장은 계약가만 4788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시민 김 모(39) 씨는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면서 “분명히 한 단체를 지목하고 선심성 행정을 펼친 것이 아닌가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와 관련, 중구 관계자는 “국가유공자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무상, 유상으로 증여할 수 있다”며 “수의계약을 통할 수도 있었지만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제한경쟁을 실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실제 선화동 제1노외주차장은 인건비·관리비로 연간 1300만 원이 지출되는 것을 감안해 예상가를 책정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