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이 20일 기자회견을 통해 ‘학교무상급식 반대 입장’ 표명한 것과 관련, 지역 정가에선 여·야별로 찬반 입장이 엇갈렸다.
한나라당 대전시당은 이날 김 교육감이 기자회견을 마친 직후 성명을 발표하고, 김신호 시교육감의 무상급식 반대 입장 피력에 지지를 보냈다.
대전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대전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진 김 교육감이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단을 전폭 지지한다”며 “김 교육감의 교육자적 양심에 따른 신념 있는 소신은 정쟁의 굴레에서 벗어나 대전 교육사에 길이 남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추켜세웠다.
이어 “대전시는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비’ 지원 예산을 무엇보다 먼저 확보해야 하며, 꼼수로 ‘부자 밥 값’을 마련할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대전시당 등은 이날 오후 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교육감의 결정을 맹비난했다.
박범계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은 만우난회(萬牛難回·만 마리의 소가 끌어도 돌려세우기 어렵다는 뜻으로, 고집이 아주 센 사람을 이르는 말)라는 고사성어를 통해 김 교육감에게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박 위원장은 “학교무상급식의 옳고 그름을 떠나 김 교육감은 자신의 교육철학만을 고집하고 있다”라며 “학부모, 학생, 교사 등 교육 3주체의 논의조차 무색하게 만드는 교육독재의 위험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내달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투쟁본부를 발족해 김 교육감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학교무상급식에 대해 원론적인 찬성 입장을 보여 온 대전시의원들도 김 교육감의 이날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실망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시의원들은 “무상급식 추진을 밀어붙이는 대전시와 이를 반대하는 시교육청이 정면충돌하는 최악의 상황이 됐다”라며 “의회 차원에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입을 모았다.
민주당 소속 의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무상급식 추진을 반대할 경우 시교육청이 불이익을 받을 것이란 경고를 전달한 바 있다”라며 “향후 시교육청의 추가경정예산 심의 거부 또는 대규모 삭감 등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한나라당 대전시당은 이날 김 교육감이 기자회견을 마친 직후 성명을 발표하고, 김신호 시교육감의 무상급식 반대 입장 피력에 지지를 보냈다.
대전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대전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진 김 교육감이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단을 전폭 지지한다”며 “김 교육감의 교육자적 양심에 따른 신념 있는 소신은 정쟁의 굴레에서 벗어나 대전 교육사에 길이 남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추켜세웠다.
이어 “대전시는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비’ 지원 예산을 무엇보다 먼저 확보해야 하며, 꼼수로 ‘부자 밥 값’을 마련할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대전시당 등은 이날 오후 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교육감의 결정을 맹비난했다.
박범계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은 만우난회(萬牛難回·만 마리의 소가 끌어도 돌려세우기 어렵다는 뜻으로, 고집이 아주 센 사람을 이르는 말)라는 고사성어를 통해 김 교육감에게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박 위원장은 “학교무상급식의 옳고 그름을 떠나 김 교육감은 자신의 교육철학만을 고집하고 있다”라며 “학부모, 학생, 교사 등 교육 3주체의 논의조차 무색하게 만드는 교육독재의 위험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내달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투쟁본부를 발족해 김 교육감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학교무상급식에 대해 원론적인 찬성 입장을 보여 온 대전시의원들도 김 교육감의 이날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실망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시의원들은 “무상급식 추진을 밀어붙이는 대전시와 이를 반대하는 시교육청이 정면충돌하는 최악의 상황이 됐다”라며 “의회 차원에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입을 모았다.
민주당 소속 의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무상급식 추진을 반대할 경우 시교육청이 불이익을 받을 것이란 경고를 전달한 바 있다”라며 “향후 시교육청의 추가경정예산 심의 거부 또는 대규모 삭감 등을 통해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