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발족할 예정인 청원군통합민간협의체 구성에 난항이 예상된다.

19일 청원군에 따르면 군은 구제역 파동 등으로 인한 변수가 없는 한 다음달 중 청주·청원 통합과 관련한 통합민간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는 찬성, 반대, 중립을 동수로 약 30명으로 이뤄질 계획이다.

통합민간협의체의 역할이 막대하다. 지난 통합 논의 과정이 ‘관 주도로 이뤄져 결국 통합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통합민간협의체는 청원군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바람직한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 청주시와의 협상 과정에서 청원군의 불이익을 방지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때문에 통합민간협의체가 어떤 인사들로 구성될 것인지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종윤 청원군수는 이에 대해 지난해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통합 과정에서 통합 찬·반 운동에 앞장선 인사들은 찬·반 양측에서 반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합민간협의체 구성에서 제외할 것”이라며 “청주와 청원의 상생발전이 가능한 안을 내놓고 축제속의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중립적이고 군민들을 설득시킬 수 있는 인사들로 민간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통합 찬·반 운동에 앞장선 인사’의 기준이 명확치 않은데 있다. 통합 찬·반 민간단체 참여 여부로 단순화 한다면 통합 반대 운동을 벌였던 청원사랑포럼의 경우 대부분의 청원군 직능단체장들이 포함돼 있어 완전히 배제시키기 쉽지 않다.

통합추진군민위원회 역시 마찬가지로 통합에 찬성하는 대표적 인사들이 대부분 참가했기 때문에 이들을 제외하면 찬성 측 인사 10여명을 채우기가 녹록지 않다.

청원군에서는 통합 찬·반 기자회견 및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석한 인사는 배제한다는 안도 고려 중이지만 이 역시 명확한 기준을 선정하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찬·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지 않은 인사 중 ‘행정구역 통합’의 장·단점에 정통한 인물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민간협의체에 포함될 정도의 대표성을 가진 인물 중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찬·반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인사는 통합에 무관심하다고 여길 수밖에 없다.

통합 찬·반 단체에서는 벌써 부터 이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

정균영 청원청주통합군민추진위원장은 “군에서 중립적인 인사로 민간협의체를 구성한다는데 차라리 통합에 대해 깊은 고민이라도 한 반대 측 인사로 구성하는게 더 바람직하다”며 “민간협의체 구성 기준을 관에서 일방적으로 정하는 것 역시 관 주도의 통합”이라고 지적했다.

조방형 청원사랑포럼 공동대표 또한 “찬·반 운동에 앞장섰던 인사를 배제하는 것은 청원군의 입맛에 맞추겠다는 것으로 통합에 대해 잘 모르는 위원들은 결국 거수기 역할 만을 할 것”이라며 “그런 민간협의체라면 그냥 시장·군수가 통합안에 서명하는게 더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원=심형식 기자letsgohs@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