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시철도공사가 사장과 영업본부장(상임이사)에 이어 ‘노른자위’ 보직으로 통하는 시설본부장(기술이사)에 L 국회의원의 보좌관인 K 씨를 사실상 내정해 낙하산 인사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연간 400여억 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도시철도공사에 퇴역관료 등이 잇따라 입성하면서 경영합리화는 애초부터 요원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퇴직 공무원들의 전문지식 활용이란 허울좋은 구색부터 버려야 공직사회의 인사원칙과 경영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일 대전시와 대전도시철도공사 등에 따르면 다음달 15일 임기가 만료되는 시설본부장의 후임에 K 씨가 내정돼 인사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전 서구 부구청장을 지내다 올해 초 취임한 김창환 사장과 영업본부장을 맡은 김권식 전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에 이어 시설본부장까지 퇴역관료 및 정치적 입김에 따른 ‘인사 종점’으로 전락하면서 지방 공기업 자리가 고위공직자 노후보장용 또는 외압에 따른 사람심기라는 비난을 피하기 힘든 상황이다.
아울러 도시철도공사 상임이사의 연봉은 경영평가에 따른 성과급을 포함해 평균 7000만~8000만 원 선으로 누구나 탐내는 알토란 같은 자리이다.
문제는 K 씨의 전력으로 지난 2003년 대전 동구청장으로 재직하던 L 의원의 비서로 근무하다 2004년 총선에 출마할 때 동시에 자리에서 물러난 후 L 의원이 낙선하자, 때마침 창설된 도시철도공사에서 2급인 팀장을 맡아 2년여 간 근무했다.
그러다 다시 1급을 뛰어넘어 이사급인 시설본부장에 내정되면서 조직내부에서도 위화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일부 간부는 당시 부하직원이던 K 씨를 상사로 모셔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설본부장은 환경·토목·전기·건축·신호·통신·종합관제 등을 총할(總轄)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사 내부에서조차 부적합하다는 주장이 폭넓게 회자되고 있다.
또한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공사의 활로 모색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감안해 공모절차 등을 거쳐 적임자를 선발해야 하지만, 이 같은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면서 인사적체에 따른 내부불만도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해마다 국정감사 때마다 단골메뉴로 지적되고 있는 공기업의 방만경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인사 시스템부터 뜯어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한 시민사회단체 인사는 “만성적자로 곳간은 텅텅 비었는데 툭하면 성과급 잔치에 낙하산식 인사까지 반복되면서 조직의 사기는 물론, 경영효율성마저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공정한 인사와 뼈를 깎는 자구노력 없이는 경영합리화를 기대하기란 연목구어나 다름없다”고 일갈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특히 연간 400여억 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도시철도공사에 퇴역관료 등이 잇따라 입성하면서 경영합리화는 애초부터 요원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퇴직 공무원들의 전문지식 활용이란 허울좋은 구색부터 버려야 공직사회의 인사원칙과 경영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일 대전시와 대전도시철도공사 등에 따르면 다음달 15일 임기가 만료되는 시설본부장의 후임에 K 씨가 내정돼 인사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전 서구 부구청장을 지내다 올해 초 취임한 김창환 사장과 영업본부장을 맡은 김권식 전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에 이어 시설본부장까지 퇴역관료 및 정치적 입김에 따른 ‘인사 종점’으로 전락하면서 지방 공기업 자리가 고위공직자 노후보장용 또는 외압에 따른 사람심기라는 비난을 피하기 힘든 상황이다.
아울러 도시철도공사 상임이사의 연봉은 경영평가에 따른 성과급을 포함해 평균 7000만~8000만 원 선으로 누구나 탐내는 알토란 같은 자리이다.
문제는 K 씨의 전력으로 지난 2003년 대전 동구청장으로 재직하던 L 의원의 비서로 근무하다 2004년 총선에 출마할 때 동시에 자리에서 물러난 후 L 의원이 낙선하자, 때마침 창설된 도시철도공사에서 2급인 팀장을 맡아 2년여 간 근무했다.
그러다 다시 1급을 뛰어넘어 이사급인 시설본부장에 내정되면서 조직내부에서도 위화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일부 간부는 당시 부하직원이던 K 씨를 상사로 모셔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설본부장은 환경·토목·전기·건축·신호·통신·종합관제 등을 총할(總轄)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사 내부에서조차 부적합하다는 주장이 폭넓게 회자되고 있다.
또한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공사의 활로 모색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감안해 공모절차 등을 거쳐 적임자를 선발해야 하지만, 이 같은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면서 인사적체에 따른 내부불만도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해마다 국정감사 때마다 단골메뉴로 지적되고 있는 공기업의 방만경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인사 시스템부터 뜯어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한 시민사회단체 인사는 “만성적자로 곳간은 텅텅 비었는데 툭하면 성과급 잔치에 낙하산식 인사까지 반복되면서 조직의 사기는 물론, 경영효율성마저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공정한 인사와 뼈를 깎는 자구노력 없이는 경영합리화를 기대하기란 연목구어나 다름없다”고 일갈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