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소문만 무성한 채 수면 아래 가라앉아있던 청주하나로저축은행 1·2대 주주와 전 은행장 등의 불법대출이 낱낱이 드러났다. 검찰의 철저한 수사 결과지만 ‘환골탈태’하려는 저축은행중앙회의 공(功)이 큰 몫을 했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중앙회는 지난해 3월 구조개선적립금 750여억 원을 투입해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했다. 중앙회가 공적자금으로 부실은행을 인수한 것은 저축은행계 역사상 최초다.
중앙회는 인수 후 3차례에 걸쳐 추가로 770억 원을 들여 은행 정상화에 나섰다.
그간 하나로은행의 대주주와 임원 등이 지역토착인사와 얽혀 불법대출,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 적자배당 및 고배당 강행 등 부실경영을 일삼아온 폐단을 근절하고자 학연·지연·혈연 등이 얽히지 않은 인사들로 전면 물갈이했다. 자칫 생길 수 있는 임원진 불법행위를 철저히 예방하려 은행 감사를 ‘금융통’으로 알려진 인사에게 맡기고, 중앙회 임원을 은행에 상주시키는 등 감사의 독립성을 확보했다.
수년간 되풀이돼온 대주주 사(私)금고화에 따른 부실경영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게 됐다는 장밋빛 희망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번 송영휘·정용희 전 대주주와 이경로 전 은행장의 불법대출 사건과 관련해서도 은행이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미지 추락에만 몰두한 채 썩은 부위를 도려내지 않았다면 종전처럼 ‘소탐대실’의 악습을 반복했을 게 불 보듯 뻔하다.
하지만 약간의 손해를 보더라도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한 점은 은행의 새로운 도약의지를 엿볼 수 있다.
하지만, 풀어야 할 숙제는 아직도 많다. 지역 재계에서는 이번에 구속된 송영휘·이경로 씨 등을 중심으로 한 불법행위 말고도 드러나지 않은 부실대출까지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래야 투입된 공적자금의 회수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과거 대주주와의 켜넥션 등을 통해 거액을 대출받고 수년간 의도적으로 변제하지 않은 부실 채권의 회수와 불법대출 채무자들에 대한 민·형사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금융계 인사는 “이번 기회에 지역에서 줄곧 거론됐던 하나로은행과 지역 건설업계간 불법대출에 대한 진위가 밝혀져야 은행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해소될 것”이라며 “수사기관에 의존하지 말고 은행이 자체감사를 통해 문제의 소지가 있는 사안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대처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인사는 “그동안 하나로 저축은행은 대출자의 신용이나 담보력 등에 의한 대출이 아니라 대주주와 임원의 친분에 의해 짜맞추기식 대출을 해와 은행이 부실화되고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관행이 반복돼 온 것 같다”며 “이번 검찰의 수사를 계기로 민형사적 책임을 물은 뒤 앞으론 엄정한 여수신심사를 통해 신뢰를 얻어 지역은행으로 외연을 넓여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인국 하나로저축은행장은 “경영정상화를 위해 전 직원들이 발 벗고 뛰고 있다”며 “전 대주주와 은행장의 전횡으로 빚어진 썩은 은행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앞으로는 영세업자와 서민 등 충북도민들에 따뜻한 보금자리를 내줄 수 있는 대표적 향토은행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