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충남·북 광역·기초의회 의장단이 17일 대전시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백지화 시도에 따른 성명서를 발표하고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 김형근 충북도의회 의장, 이상태 대전시의회 의장, 박종서 대전시 구의회 의장협의회 회장, 박찬웅 충북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부회장, 강신훈 충남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부회장.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정부가 이명박 대통령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을 번복하려는 것에 대한 지역 반발 여론이 급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3개 시·도 광역·기초의회들도 ‘대통령 공약 파기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공헌하고 나섰다.

대전·충남·충북 광역의회 의장과 기초의회 대표들은 17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백지화 시도를 규탄했다.

이들은 규탄 성명을 통해 “정부와 여당은 지난해 말 국회에서 ‘충청권 입지’라는 알맹이는 쏙 뺀 채 과학벨트 특별법을 통과시키더니, 이제는 ‘충청권 대선공약 파기’와 함께 ’입지선정 공모’ 시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며 “과학벨트가 공모사업으로 변질될 경우 ‘제2의 세종시 사태’, ‘제2의 대충청 사기극’으로 규정하고 엄중하고도 준엄한 심판을 내리겠다”고 경고했다.

이어 “정부와 여당 정치인들은 지역간 갈등과 국론 분열을 획책하는 과학벨트 공모선정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특별법에 ‘충청권 입지’를 지정·고시하라”며 “정치논리에 의해 (과학벨트를) 특정지역에 조성하려는 어떤 시도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또 공동합의문에 △충청권 3개 시·도 및 의회, 시민 단체가 참여하는 총 결의대회 개최 제안과 적극 동참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조성될 때까지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공동 대처할 것 등을 약속했다.

이상태 대전시의회 의장은 “과학벨트는 대통령 공약사항이기도 하지만 집중과 선택 차원에서 대덕특구 등이 있는 충청권이 최적지”라면서 “세종시 원안 사수를 위해 정파를 초월해 충청권이 힘을 합쳤던 것처럼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은 “대통령은 공약에 따라, 로드맵대로 추진하면 되는데, 힘의 논리에 의해 힘 있는 곳으로 보내려고 한다”라며 “정부가 과학벨트 약속을 저버린다면 충청권 모두 일어나 대정부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형근 충북도의회 의장은 “과학벨트가 제2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사태의 전철을 밟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라며 “정부가 오송을 첨복단지의 최적지로 꼽았다가 대구에 나눠주는 등 말 바꾸기 행태를 빚은 것, 겉은 전국 공모를 내세우면서 속으로는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두는 발언을 하는 것, 나눠먹기 가능성 등을 볼 때 과학벨트 논란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자리에는 충청권 3개 광역시·도의회 의장과 함께 박종서 대전시 구의회 의장협의회 회장과 박찬웅 충북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부회장, 강신훈 충남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부회장 등도 동참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