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7일 대전도시철도 한 역사 매표소에서 역무원이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에게 발부하는 무임승차권을 신분증 확인없이 발급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연간 400여억 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지만 도시철도공사는 경영합리화 및 구조조정 등을 통한 자구책 마련보다는 '구조적 문제'라는 말로 책임경영을 회피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행정안전부, 대전시 등에 따르면 대전도시철도공사의 수익(2009년 결산 기준)은 356억 원으로 서울메트로 9242억 원, 서울도시철도 5535억 원, 부산 3292억 원, 인천 1060억 원, 대구 1161억 원, 광주 601억 원 등 전국 도시철도공사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반면 비용은 광주도시철도공사(887억 원)와 비슷한 수준으로 대전도시철도공사의 총비용은 773억 원으로 417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대전도시철도공사 측은 “매년 무임 손실액이 100억 원을 넘는 등 무임승차 손실액이 워낙 크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논리다.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무료화 정책으로 무임 손실액이 연간 총 운수수입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등 도시철도 경영 정상화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무임승차에 대한 손실보전만이 적자경영을 줄일 수 있는 해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본보 취재진이 지역 내 주요 도시철도 역사를 직접 방문해 취재한 결과, 무임승차를 위한 신분증 확인 절차를 밟고 있는 것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주요 역사 5곳에서 모두 무임승차권을 받기 위해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신분증 확인 없이 티켓을 배포하고 있었으며, 이를 제지하거나 신분증을 요구하는 역무원은 한 곳도 없었다.
이에 따라 도시철도공사의 수익구조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지난 2009년 무임승차 손실액은 76억 원에 경상적자(233억 원)의 32.6%를 차지하는 등 손실액 규모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초창기에는 신분증을 일일이 확인했지만 지속적으로 민원이 발생하면서 최근에는 자의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올 하반기부터 신분증을 발매기에 투입해야 표가 발권되는 무인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교통관련 전문가들은 “무임승차는 교통복지라는 측면에서 도입한 정책으로 타 도시철도공사도 동일한 조건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전도시철도 측의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강조한 뒤 “올해 도입될 예정인 무인시스템 역시, 타 신분증을 도용해 발권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며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경영합리화 방안이 먼저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