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학자금 지원을 위해 마련된 '든든학자금'을 학생들이 외면해 제도 도입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16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장학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후상환학자금(ICL) 제도인 든든학자금을 이용한 대학생은 1학기 11만 4722명, 2학기 11만 7168명 등 모두 23만 1890명에 그쳤다.

이는 당초 정부가 예상한 70만 명의 3분의 1 수준으로 대출조건이 까다롭고 금리가 높아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든든학자금 신청자격은 소득 7분위 이하 가정 학생으로 35세 이하, 직전 학기 성적 평점이 B학점(80/100점)이상으로 제한돼 있다.

든든학자금 이자율은 지난해 1학기 5.7%, 2학기 5.2%에서 올해 1학기에는 4.9%가 적용된다.

정부의 각종 정책대출 금리가 무이자 또는 3%대인 것과 비교하면 대략 5%인 든든학자금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또 든든학자금을 이용한 학생은 재학 중 원리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되지만 기존 대출을 선택했을 때 받을 수 있던 정부의 이자지원 혜택은 포기해야 한다.

정부는 일반상환학자금대출을 이용한 학생이 소득 1~3분위 가정에 속하면 무이자로 대출이 가능했고, 소득 4~5분위 학생에게는 4%포인트, 소득 6~7분위 학생에게는 1.5%포인트에 해당하는 이자를 지원해줬다. 이로 인해 지난해 2학기 일반상환학자금대출을 이용한 대학생은 24만 7388명으로 든든학자금 이용자보다 2배 정도 많았다.

대학가에서는 신청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았거나 기준을 낮추는 등 대출문턱을 낮췄다면 더욱 많은 학생이 든든학자금을 이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