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성범죄 등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도입된 ‘학교꿈나무지킴이(이하 지킴이)’가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도입 이후 꾸준히 제기돼왔던 근무시간 연장 및 운영관리 등에 따른 개선은 제자리걸음에 머물고 있어 학부모들의 불안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킴이들은 대전지역의 경우 지난해 9월부터 시내 모든 초등학교에 확대 배치됐으며, 충남지역은 같은 달 최초 도입되는 등 표면상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킴이와 교사 간 소통 부족 및 ‘수업일수 기준 근무일수 끼워 맞추기’ 식 운영으로 방과후 학교 수업 등 정작 필요할 때의 활동은 극히 제한되고 있다.

실제 모 초등학교 지킴이 김모(65)씨는 “지킴이 배치 이후 업무적으로 교사들의 조언을 들어본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다. 거의 자율적으로 운영돼 자리를 비워도 제지하는 교사는 없다”며 “방학 중에도 일을 하고 싶지만 수업일수에 맞춰야 하는 등 제한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더욱이 충남지역의 경우 지킴이 도입 이후 5개월 만에 원활한 운영에 빨간불이 들어온 상태다.

그동안 충남도에서 지원하던 123개 학교 지킴이 관련 예산(11여억 원)이 새 학기부터 ‘뚝’ 끊기게 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당초 충남도는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각 시·군별로 채용, 초등학교에 지원·배치했다.

하지만 도는 일자리 창출 취지에 벗어난다고 판단, 새 학기부터 ‘지원 하지않겠다’는 완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지킴이 예산지원은 순수한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도 자체 사업이었다”며 “사업의 효율성이 없다고 판단, 앞으로 더 이상의 지원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물론 지킴이를 각 시·군별 지자체에서 직접 채용·배치해 자격요건 등을 놓고 말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갑자기 123개 초등학교에 안전관리 공백이 생기는 만큼 도교육청은 당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도와 접촉 중이고 이해를 구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예산이 풍족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지원이 끊긴다면 너무도 큰일이지만 최대한 교육청에서 예산을 끌어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전지역 꿈나무지킴이는 138개 초등학교에 195명이 배치돼있으며, 충남지역은 430개 초등학교 중 415개 학교에서 운영 중이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