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해 ‘충청권 추진협의회’가 구성된 가운데 대전시 추천 위원 상당수가 세종시 수정안 찬성론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대전시와 충남·북 등에 따르면 3개 시·도는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촉구하기 위해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를 공동으로 구성키로 하고, 오는 17일 충북도청에서 발대식을 갖는다.

추진협의회는 충청권 3개 시·도지사를 공동 위원장으로 하고, 3개 시·도 발전연구원과 시·도의회, 과학기술계, 경제계와 시민단체 등의 분야에서 시·도 별 11명 씩 모두 33명을 추진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했다.

협의회는 과학벨트 조성을 위한 공동포럼 및 연구용역 정책 자문,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당위성 마련 및 홍보, 과학벨트 입지 선정에 대비한 충청권 협조체제 구축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추진협의회 위원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해 움직여야 할 가장 핵심적인 인물들로 지역 정서를 잘 읽고, 대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출발했다.

그러나 대전시가 이번에 위원으로 추천한 인사 11명 중 상당수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던 인사들로 채워져 위촉배경에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사는 송인섭 대전상공회의소 회장과 이상윤 대전사랑시민협의회 회장, 이시구 대한건설협회 대전시회장 등 상당수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던 인물들이다.

실제 송인섭 회장은 지난해 1월 16일 정운찬 총리가 대전을 방문해 마련한 '과학·상공인 만찬간담회'에 참석해 “이 자리에 기업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데 모두 수정안 쪽으로 확정했다”고 전제한 뒤 “잘 이해를 시키고 있다”며 당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적극적인 찬성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상윤 회장도 지난해 2월 25일 “우리 충청인들은 세종시 문제로 정치권의 감정적인 대립과 갈등이 국가적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냉정하게 수정안을 검토한 결과, 원안보다 수정안이 국가적으로나 특히 충청지역에 유리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그 지지를 선언한다”며 교계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또 이시구 회장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되자마자 “수정안이 발표됐다고 해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 다만 정부안이 계획대로 추진돼 충청지역은 물론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한다”며 지지하는 시장을 표명했다.

이에 따라 지역 정계를 비롯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이번 추진협의회 위원 위촉과 관련해 선정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일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던 인물들이 과학벨트 사수 투쟁의 구심체 역할을 할 협의회 활동에 나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대전시의 빠른 사태 파악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3개 시·도가 모여 회의를 통해 시·도지사를 공동 위원장으로 하고, 각 분야별 대표성이 있는 인사를 선정했다”며 “이들은 정계와 경제계, 시민·사회단체 등 지역을 대표하고, 대변해 줄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됐으며, 이들 중 일부가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는지는 모른다”고 해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