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올해부터 ‘3권3불 운동’을 본격 전개키로 한 가운데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가 업계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3권3불 운동’은 인재채용, 환경개선, 혁신경영의 3권 이행과 임금체불, 인권침해, 탈세오명 등을 하지 않는 3불을 중소기업 스스로 이행해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확산시킨다는 일종의 자정운동이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들은 이 운동에 동의하고 있지만 실제 추진에는 여러 애로사항이 따르고 있어 캠페인성 구호로 그칠 것이란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실제 1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8%가 올해 채용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68.3%는 채용희망 인력으로 ‘청년인턴’을 꼽았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여전히 정규직 채용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 근로자의 복지제도에 대해서는 '현행 유지' 하겠다는 응답이 47.0%인 데 반해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21.3%에 그쳐 복지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낮은 상황이다.
특히 복지제도 운영의 애로사항에 대해 응답업체의 55.3%가 ‘자금부족’을 꼽고 있어 근로환경 개선은 정부지원책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3권3불 운동’은 인재채용, 환경개선, 혁신경영의 3권 이행과 임금체불, 인권침해, 탈세오명 등을 하지 않는 3불을 중소기업 스스로 이행해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확산시킨다는 일종의 자정운동이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들은 이 운동에 동의하고 있지만 실제 추진에는 여러 애로사항이 따르고 있어 캠페인성 구호로 그칠 것이란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실제 1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8%가 올해 채용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68.3%는 채용희망 인력으로 ‘청년인턴’을 꼽았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여전히 정규직 채용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 근로자의 복지제도에 대해서는 '현행 유지' 하겠다는 응답이 47.0%인 데 반해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21.3%에 그쳐 복지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낮은 상황이다.
특히 복지제도 운영의 애로사항에 대해 응답업체의 55.3%가 ‘자금부족’을 꼽고 있어 근로환경 개선은 정부지원책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