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관들이 올해 보증공급 규모를 대폭 축소키로해 지역 중소기업들이 자금 확보에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대표적 신용보증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은 올해 신규와 연장 등 보증공급 규모를 지난해 실적보다 4조 4000억 원 줄어든 40조 1000억 원으로 계획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 중소기업이 이용하는 일반보증은 4조 5000억 원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이고 유동화회사보증과 은행자본확충펀드도 각각 3000억 원이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건설업체 브릿지보증인 시장안정특별보증은 7000억 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일반보증 등의 감소와 대조를 보였다.
이처럼 일반보증 등은 대폭 감소한 반면 건설업체 보증은 늘어나면서 중소기업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건설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중견기업이나 건설업,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보증은 늘리거나 감소폭을 작게하면서 일반보증만 대폭 줄이는 것은 본래 취지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이와 함께 기술중심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술보증기금 역시 보증공급 규모를 줄일 것으로 보여 중소기업들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신규 보증과 보증 연장 등에서 지난해 실적보다 6000억 원 줄어든 15조 9000억 원 규모로 올해 보증공급 규모를 책정했다.
큰 폭의 축소는 아니지만 지난해 1000억 원 감소와 비교하면 6배에 달하는 수치로 업계 체감은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들 신용보증기관들의 보증공급 규모 축소는 지난 금융위기 당시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부분을 연차적으로 줄이는 과정이지만 업체들 입장에선 유가 상승, 원자재가 상승 등과 더불어 또하나의 경영 위기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역 한 중소기업 대표는 “추가 대출을 위해 보증을 받으려 신용보증기금을 찾았지만 더 이상 보증을 서줄 수 없다는 답변만 듣고 왔다”며 “기름값이 오르면서 생산비가 증가해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데 혹시라도 대출금 일부를 상환하라는 통보가 올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장기보증과 고액보증, 한계기업들을 위주로 보증 규모를 점차 축소시키겠다는 입장이지 무조건 줄이는 것은 아니다”며 “미래성장동력부분 일자리 창출 부문은 지원을 강화해 자금의 정책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역 영세사업자를 대상으로 보증을 공급하는 대전신용보증재단과 충남신용보증재단은 올해 보증공급 계획을 각각 1250억 원과 2000억 원 규모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대표적 신용보증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은 올해 신규와 연장 등 보증공급 규모를 지난해 실적보다 4조 4000억 원 줄어든 40조 1000억 원으로 계획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 중소기업이 이용하는 일반보증은 4조 5000억 원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이고 유동화회사보증과 은행자본확충펀드도 각각 3000억 원이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건설업체 브릿지보증인 시장안정특별보증은 7000억 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일반보증 등의 감소와 대조를 보였다.
이처럼 일반보증 등은 대폭 감소한 반면 건설업체 보증은 늘어나면서 중소기업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건설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중견기업이나 건설업,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보증은 늘리거나 감소폭을 작게하면서 일반보증만 대폭 줄이는 것은 본래 취지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이와 함께 기술중심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술보증기금 역시 보증공급 규모를 줄일 것으로 보여 중소기업들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신규 보증과 보증 연장 등에서 지난해 실적보다 6000억 원 줄어든 15조 9000억 원 규모로 올해 보증공급 규모를 책정했다.
큰 폭의 축소는 아니지만 지난해 1000억 원 감소와 비교하면 6배에 달하는 수치로 업계 체감은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들 신용보증기관들의 보증공급 규모 축소는 지난 금융위기 당시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부분을 연차적으로 줄이는 과정이지만 업체들 입장에선 유가 상승, 원자재가 상승 등과 더불어 또하나의 경영 위기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역 한 중소기업 대표는 “추가 대출을 위해 보증을 받으려 신용보증기금을 찾았지만 더 이상 보증을 서줄 수 없다는 답변만 듣고 왔다”며 “기름값이 오르면서 생산비가 증가해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데 혹시라도 대출금 일부를 상환하라는 통보가 올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장기보증과 고액보증, 한계기업들을 위주로 보증 규모를 점차 축소시키겠다는 입장이지 무조건 줄이는 것은 아니다”며 “미래성장동력부분 일자리 창출 부문은 지원을 강화해 자금의 정책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역 영세사업자를 대상으로 보증을 공급하는 대전신용보증재단과 충남신용보증재단은 올해 보증공급 계획을 각각 1250억 원과 2000억 원 규모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