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면 돌파냐, 소신 굽히기냐.'
무상급식 전면 실시와 관련 입장 표명이 임박한 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의 최종 선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무상급식 전면 실시보다는 저소득층에 대한 선별 지원을 강조했던 김 교육감이 대전시를 비롯해 야당과 시민단체 등의 전면 실시 촉구에 맞서 소신을 지킬 것인지 여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교육계 안팎에서는 지난해 6월 선거과정과 당선 이후 현재까지 줄곧 무상급식 전면 실시에 반대 입장을 견지해 온 김 교육감의 교육적 소신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특히 김 교육감이 지난해 6월 선거에서 무상급식 논란이 핵심적인 이슈로 부각되며 유권자의 표심을 파고들던 상황에서도 전면 실시가 아닌 저소득층에 대한 선별 지원 입장을 끝까지 고수한 점을 들어 외부요인에 흔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당시 김 교육감은 선거를 앞두고 가진 인터뷰에서 "누구나 좋아하는 무상급식 전면 실시를 선거용으로 내걸 수도 있고 당선 후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점진적으로 말을 바꿀 수도 있다"며 "하지만 책임을 지지 못할 얘기는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고 밝힌 바 있다.
김 교육감은 최근 염홍철 대전시장과 교육계 인사 등이 대거 참석한 자리에서 자신의 교육철학과 소신에 따라 교육정책을 펼치겠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을 받았다.
김 교육감은 지난 4일 열린 '2011 대전·충남 교육계 신년교례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최근 새로운 이슈를 새삼스럽게 들고 나와서 교단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며 "교육현장은 검증된 내용과 정책만이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올해 대전교육은 좌고우면하지 않고 굳건하게 가야할 길을 향해서 소리없이 전진하겠다"고 강조해 무상급식 논란 등 대외적인 압박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됐다.
더욱이 이날 행사장에는 지난달 김 교육감에게 대전시와 구, 교육청 간 구체적인 재정분담율까지 제시하며 무상급식 전면 실시를 제안한 염 시장이 함께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답변의 성격이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오는 등 그 의미가 남달랐다.
반면 일각에서는 무상급식 전면 실시를 선호하는 학부모와 야당 및 시민단체 등의 여론을 감안해 김 교육감이 시의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지만 실현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김 교육감은 무상급신 찬반 논란에서 촉발돼 주민투표 논란까지 확대된 서울시 상황 등을 비롯해 각계각층의 여론을 청취하는 등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조만간 기자회견을 통해 무상급식과 관련 공식적인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