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해 12월 31일 기습적으로 문을 연 대전아쿠아월드가 공사미흡과 행정철차 미이행 등 으로 정식 유료개장을 미루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일 통행로 공사가 진행중에 있어 관람객들에게 안전사고의 위험과 불편을 주고 있는 모습.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대전아쿠아월드는 지난해 개장 시기를 놓고 확정과 연기를 반복하며, 진통을 겪던 중 지난해 12월 31일 기습적으로 문을 열었다. ㈜대전아쿠아월드는 앞서 개장 연기에 따른 악화된 여론을 무마하고, 시설 홍보를 위해 지난해 11월 3일 지역 언론사들을 초청, 현황 보고회를 가졌다.
아쿠아월드 관계자는 이날 “초창기 사업계획대로 진행한다면 소형수족관에 불과하고, 기왕에 시작된 사업인 만큼 지역 최고의 시설을 만들기 위해 개장이 다소 늦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무엇보다 아마존강에서 서식하는 ‘분홍돌고래 보토(Boto)’ 없이는 아쿠아월드의 존재의미가 없다”며 “분홍돌고래를 반입하는 시점에 맞춰 연내 개장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아쿠아월드 개장=실종된 분홍돌고래·행정절차
대전아쿠아월드는 그러나 ‘우려 반 기대 반’ 속에 분홍돌고래 없이 지난해 말 개장했고, 개장과 동시에 교통대란을 일으키며, 졸속개장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시 방공시설인 충무시설을 활용한 대형아쿠아리움이라는 점을 최대 강점으로 내세우며, 홍보했던 아쿠아월드가 아직까지 전시·관람시설로 용도변경을 위한 행정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대전아쿠아월드는 충무시설을 전시·관람시설로 변경하기 위한 용도변경 신청을 11일에야 대전 중구청에 접수했다.
중구 관계자는 “충무시설의 용도변경을 위한 서류신청이 이날 접수됐다”며 “아무리 빠르게 진행해도 4~5일이 지나야 하며, 용도변경 절차에 이어 사용승인 절차도 남아 있다”고 전했다.
결국 아쿠아월드는 대전시의 암묵적 동의 속에 메인시설에 대한 행정절차도 이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해 말 기습 개장 했고, 이에 따른 피해는 모두 시민들이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대전아쿠아월드의 졸속 개장=시민들과의 약속?
대전아쿠아월드가 무리한 개장을 결정하게 된 배경에는 입점 상인들과의 관계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아쿠아월드는 지난해 5월부터 수백억 원 대의 사업비를 충당하기 위해 상가에 대한 점포 분양을 시작했고, 이를 위해 턴키방식으로 분양 업무를 대행사에 이관했다.
상인들은 아쿠아월드의 홍보 및 집객효과를 기대하며, 거금을 들여 입점했다.
일부 상인들은 은행대출을 받아 투자하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퇴직금으로 입점을 결정한 경우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당초 약속했던 지난해 8월 개장은 연기됐고, 10월, 11월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지난해 말까지도 개장이 불투명했다.
이에 따라 상인들은 잇단 개장지연에 따른 불안감과 경제적 손실에 처하는 등 불만이 고조됐고, 초기에 상가를 분양·임대받은 상인들은 앉은 자리에서 대출 이자를 지불해야 하는 등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입점 상인들의 조속한 개장 요구와 시민·여론의 관심도 큰 부담으로 작용했고, 결국 상황에 밀린 아쿠아월드 측은 지난해 말 '환영받지 못한 개장'을 강행하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일부 상인들이 “아쿠아월드 측이 입점 당시 약속한 상가 내 '독점권'에 대한 약속을 어겼다”면서 “단일 시설에 동일 업종이 동시에 입점하게 되면 상권이 같이 죽는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대전아쿠아월드 관계자는 “개장 지연에 따른 시민들과 외부인들의 신뢰감 상실을 염려해 무료개장 형식으로 문을 열었다”면서 “계약서에 명기된 내용을 정확히 이행했고, 분양을 위해 어떤 허위나 과장광고도 없었다”고 말했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은 차갑기만 하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