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고 비좁은 청주시 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 수 년 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근 건물 매입 또는 청사 신축이전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 2004년 한대수 전 시장 재임시절에는 '청사 이전 추진 계획단'이 구성되는 등 시청사 이전 문제가 가시화되기도 했으나 도심공동화를 우려하는 지역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결국 무산됐다.

특히 최근엔 행정안전부가 지방자치단체 신청사 건립 금지 등을 담은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방안'을 내놓는 등 주변여건이 더욱 녹록치 않다.

하지만 청주·청원통합이라는 대의명분을 안고 있는 청주시의 경우는 인구 80만 도시의 탄생에 따른 신청사 마련이 필수불가결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오는 2012년까지 통합기반을 형성키로 한 충북도, 청주시, 청원군의 합의에 맞춰 통합청사 마련 방안도 본격적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게 지역 여론이다.

현재까지 거론되고 있는 통합청사 마련 방안은 크게 세 가지다.

첫 번째, 시청사 인근 건물과 부지를 추가매입한 뒤 현재 자리에 통합청사를 신축하는 방안이다.

이는 매번 시청사 이전의 걸림돌이 됐던 도심공동화를 주장하는 지역민들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신축기간중 임시 시청사로 사용해야할 대체시설을 찾아야 하는 과제가 뒤따른다. 또 인근 건물주가 건물 매입에 미온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두 번째, 흥덕구 복대동 옛 대농지구 내 공공청사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대농지구는 통합의 구심점인 지리적 특성과 교통·청주공항·세종시·호남철 오송역 등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입지조건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공공용지를 무상귀속 받아 800억 원 가량 소요되는 토지매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또 건축비 부담이 클 경우 잔여 공공용지를 매각해 충당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지구내 공공청사 부지가 2만 6400㎡(8000평), 2만 3100㎡(7000평), 1만 6500㎡(5000평) 등 3곳으로 나뉘어 있어 통합청사로 활용하기 위해선 토지병합이 이뤄져야만 가능하다는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끝으로 시 외곽지나 청원지역의 값싼 제3의 부지를 찾아 신축이전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 또한 시청사 이전에 따른 사회적 갈등 해소와 예산 확보 문제가 큰 부담이며, 접근성과 지역 균형발전을 염두에 둔 입지조건을 갖춘 후보지 선정이 또다른 논란을 불러올 여지가 남아있다.

이처럼 신청사 내지는 통합청사 마련 방안이 청내 안팎에서는 꾸준히 거론되고 있지만 시 차원에서는 구체적 논의는 2006년 민선4기 출범이후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한 지역인사는 "2012년 통합기반 형성, 2014년 통합시 출범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통합청사 마련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다"며 "막대한 예산과 지역적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 사안인 점을 감안해 또다른 갈등을 불러올 수 있는 부지 선정은 차후로 미루더라도 구체적인 추진방향은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청주·청원통합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기 때문에 통합청사가 마련돼야 한다는데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으며, 낡고 비좁은 시청사 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가장 좋은 대안"이라면서도 "워낙 민감한 사안이다 보니 현재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바는 없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