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0일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와 관련 ‘부적격’ 판정을 내리며,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다.
현 여권이 대통령이 지명한 감사원장 후보를 인사청문회에 앞서 부적격 판정을 내린 것이 사상 초유의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대두되는 등 여권발 정치적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주말 많은 여론 수렴을 통해 국민의 뜻을 알아본 결과 정 후보자가 감사원장으로 적격성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고 판단했다”며 “정 후보자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국민의 뜻을 따르는 것이고, 이 정부와 대통령을 위하는 것”이라고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홍준표 최고위원도 “잘못된 정부 인사 정책을 보다 냉철하고 치열하게 바로잡고 바꿔야 역사와 국민 앞에 당당한 한나라당이 될 것”이라고 정 후보가 부적격하다는 입장에 동조했다.
이처럼 한나라당 지도부가 이 대통령이 지명한 감사원장 후보를 정면으로 반대함에 따라 조기 레임덕 현상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인사에 대해 여당이 정면으로 문제로 삼는 것 자체가 레임덕의 출발이고, 이는 곧 항명으로까지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사태가 레임덕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주장이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이 대통령의 인사에 반기를 든 것은 그 만큼 위기감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2009년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 지난해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잇따른 낙마를 비롯해 각종 불법 사례 등이 적발되는 등 이 대통령의 인사가 매번 난관에 부딪쳤던 만큼 이번 정 후보자가 조 다시 인사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다가오는 설 연휴의 민심과 4월 재보궐 선거를 장담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이 대통령의 인사가 계속해서 문제가 될 경우 오는 2012해 총선과 대선에서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짙게 깔려 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정 후보자 자진사퇴를 촉구한 한나라당의 입장과 관련 불쾌감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청와대 홍상표 홍보수석은 이날 “대통령실장과 관계 수석비서관이 여러 의견을 나눴다”며 “당도 얼마든지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책임 있는 집권 여당으로써 이번에 보여준 절차와 방식에 대해서는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수석은 이어 “(한나라당의 입장에 대해)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특별한 말씀은 없었다”고 전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현 여권이 대통령이 지명한 감사원장 후보를 인사청문회에 앞서 부적격 판정을 내린 것이 사상 초유의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대두되는 등 여권발 정치적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주말 많은 여론 수렴을 통해 국민의 뜻을 알아본 결과 정 후보자가 감사원장으로 적격성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고 판단했다”며 “정 후보자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국민의 뜻을 따르는 것이고, 이 정부와 대통령을 위하는 것”이라고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홍준표 최고위원도 “잘못된 정부 인사 정책을 보다 냉철하고 치열하게 바로잡고 바꿔야 역사와 국민 앞에 당당한 한나라당이 될 것”이라고 정 후보가 부적격하다는 입장에 동조했다.
이처럼 한나라당 지도부가 이 대통령이 지명한 감사원장 후보를 정면으로 반대함에 따라 조기 레임덕 현상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인사에 대해 여당이 정면으로 문제로 삼는 것 자체가 레임덕의 출발이고, 이는 곧 항명으로까지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사태가 레임덕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주장이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이 대통령의 인사에 반기를 든 것은 그 만큼 위기감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2009년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 지난해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잇따른 낙마를 비롯해 각종 불법 사례 등이 적발되는 등 이 대통령의 인사가 매번 난관에 부딪쳤던 만큼 이번 정 후보자가 조 다시 인사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다가오는 설 연휴의 민심과 4월 재보궐 선거를 장담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이 대통령의 인사가 계속해서 문제가 될 경우 오는 2012해 총선과 대선에서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짙게 깔려 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정 후보자 자진사퇴를 촉구한 한나라당의 입장과 관련 불쾌감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청와대 홍상표 홍보수석은 이날 “대통령실장과 관계 수석비서관이 여러 의견을 나눴다”며 “당도 얼마든지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책임 있는 집권 여당으로써 이번에 보여준 절차와 방식에 대해서는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수석은 이어 “(한나라당의 입장에 대해)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특별한 말씀은 없었다”고 전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