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플러스 사업은 영양취약계층인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양평가를 실시해 빈혈, 저체중 등 영양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에게 영양교육 및 보충 식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영양 플러스사업이 사업자 선정에 따른 공백기 발생으로 수혜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10일 대전시와 각 자치구에 따르면 영양플러스 사업은 지난 2008년 서구를 시작으로 2009년 시 5개 자치구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총 사업비는 5억 2000만 원으로 국민건강증진기금에서 2억 6000만 원을 조성하고, 시·구가 각각 1억 3000만 원씩 부담하고 있다.

시에서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총 1317명이 사업 수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해를 넘겨 사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우유, 달걀 등 보충식품 지원에 20~30일 정도의 공백이 발생하면서 불거지고 있다.

특히 사업 수혜자 대부분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 영양플러스 사업의 보충 식품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사업 수혜자 A 씨는 “막상 하루에 한 번 배달되던 우유가 끊기니까 난감하다”며 “형편이 어려운 가정에서는 영양플러스 사업에 의존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게다가 각 자치구마다 사업자를 선정하는 시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각 자치구들은 대부분 공개입찰에 들어간 상황으로 이르면 오는 12일 개찰을 통한 조속한 사업 속개를 계획하고 있지만 유찰에 따른 사업 지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 한 자치구는 지난해 공개입찰이 2번이나 유찰되면서 한 달가량의 사업 공백이 발생했다.

시 관계자는 “본래 영양플러스 사업의 목적은 영양교육을 통해 영양불균형이 원인인 빈혈 등의 질병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라면서 “시는 사업자 선정에 따른 공백기 극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건복지부에 12월에 사업자 선정이 가능하도록 요청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월 2회 공급하는 미역, 달걀 등의 보충 식품은 다음 달에 함께 지급하면 된다”며 “하지만 우유는 실상 계약체결 이후부터 지급돼 공백 기간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