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확산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축산농가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축산농가들은 예방접종 실시에 따른 사료값 부담, 부작용, 불합리한 이동통제 상황에 대해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10일 충북도재난대책본부는 구제역이 현재 충북도내 5개 시·군 8개소로 확산되는 추세 속에 농림수산식품부의 예방접종 확대계획에 따라 도내 12개 시·군의 소, 돼지 종돈·모돈에 대해 예방접종을 실시키로 결정했다.
예방접종이 도내 전 지역으로 확산될 예정인 가운데 구제역 발생지역 축산농가들은 예방접종 후 이동제한 조치에 따른 사료값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청원군육우협회에 따르면 육우 한 마리가 하루에 소비하는 사료는 가격으로 환산할 때 약 6000원 정도다.
통상 한 농장이 300~400마리의 육우를 사육하는 것을 고려하면 하루에 사료값만 200여만 원이 든다. 구제역 발생지역은 예방접종 후 한 달간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 출하가 예정됐던 소의 사료값은 고스란히 농가의 부담으로 돌아간다.
특히 설을 앞두고 대규모 출하를 준비 중이던 농가들은 이동제한 조치에 걸려 출하도 못 하고 사료값만 지출하고 있다. 출하시기를 놓치면서 육질이 떨어져 발생할 손해 역시 농가의 몫이다.
청원군 북이면 박 모 씨는 “설에 출하하기 위해 입식한 소들이 이동제한이 걸린 기간 동안 먹는 사료값도 문제지만 설 전에 폭등한 쇠고기 가격이 설 이후 한번에 쏟아질 물량 때문에 폭락하지는 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예방접종 부작용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청원군 내수읍 우산리에서 지난 8일 예방백신을 맞은 한우가 다음날 송아지를 사산하는가 하면, 지난 7일에는 예방접종을 받은 미원면 기암리 농가의 송아지가 폐사하기도 했다.
청원군 관계자는 “예방백신 접종에 따른 통증과 스트레스로 사산하거나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불합리한 이동통제도 원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청원군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은 오창읍 성재리로 청원군 북부지역이다.
청주시를 둘러싼 청원군의 특성상 청원군 남부지역은 오창읍에서 먼 거리지만 발생지역이 시·군 단위로 묶여 이동제한 조치가 취해졌다.
청원군 문의면 김모 씨는 “오창에서 가까운 청주시는 발생지역이 아니라서 이동이 자유로운데 훨씬 거리가 먼 청원군 남부지역이 이동제한에 걸린 것은 불합리하다”며 “자치단체별로 이동제한을 취한 것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으로 실제 발생한 곳에서 거리에 맞춰 제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원군 관계자는 “현재 예방접종과 관련한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예방접종 실시에 따른 보상대책, 불합리한 이동제한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