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아쿠아월드가 교통문제로 연일 언론의 뭇매를 맞자 궁여지책으로 지난 8일과 9일 ‘한파와 대설주의보’를 핑계로 임시휴관을 결정하고, 이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대다수의 시민들과 외지인들이 이를 믿고, 방문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영업행위가 이뤄졌다. 아쿠아월드가 왜 하룻만에 들통 날 거짓말을 했을까? 이유는 바로 아쿠아월드 자체가 협소한 진입로와 부족한 주차장 문제로 주말 교통대란이 또 발생할 경우 이에 따른 비난을 피하기 위해 꼼수를 부릴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사전 교통영향평가=사업자 입맛대로
대전아쿠아월드는 보문산 재생 프로젝트의 가장 핵심 사업으로 이 시설이 들어설 경우 대전 오월드와 뿌리공원을 연계해 지역 최고의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겠다는 게 대전시와 중구의 기본 구상이다.
특히 그동안 낙후지역으로 분류된 대전 중구 대사지구를 개발하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했고, 때마침 구원투수로 등장한 ㈜대전아쿠아월드에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평소에도 교통체증이 심한 보문산 일원에 아쿠아월드 등 대규모 전시·관람시설이 들어설 경우 교통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충분히 예측 가능했지만, 이들 기관들은 이를 묵인, 또는 방조해 이 같은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 문화 및 집회시설(동·식물원)로 신고된 대전아쿠아월드는 시설면적 1만 6319.3㎡와 주차장 부지 3427㎡를 포함, 모두 1만 9746.3㎡로 건축물 인·허가 신청이 접수되면서 기준 면적(2만 ㎡) 이하로 분류, ‘교통영향분석 개선대책 심의’ 대상에서 제외됐다.
◆대전시=교통·부동산 컨설턴트
대전아쿠아월드는 개장과 동시에 2단계 사업계획을 발표했고, 기존 시설에 이어 보문산 ‘푸푸랜드(옛 수영장)’까지 매입, 생태체험장을 조성한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대전아쿠아월드 측은 “수족관 시설 외에 생태체험장이 필요하다는 교육기관을 의견을 수렴하고, 보문산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시의 사업비 부족을 해소해 주기 위해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보가 확인한 결과 대전시는 지난 2009년 11월 보문산을 지역의 대표 관광단지로 조성한다는 '보문산 뉴 그린 파크(NEW GREEN PARK) 프로젝트'를 발표했고, 이 사업계획서에 이미 아쿠아월드의 부대시설로 생태체험장이 명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시가 발표한 사업계획서를 보면 '아쿠아월드의 부대시설로 물고기 테마 생태체험 전시장이 들어선다'는 내용이 명기돼 있어 그동안 이들 기관들이 내세웠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즉, 민간 사업자가 개인 사유지를 매입할 경우 과도한 보상비를 놓고,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자 시가 중개기관으로 나서 대신 매입해주고, 다시 산 가격에 파는 부동산 컨설턴트 역할까지 자처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시 교통국 관계자는 “보문산 뉴 그린 파크 프로젝트는 기획관실에서 기획한 일로 사업 내용을 전혀 몰랐고, 아쿠아월드가 당시 제출한 사업계획서에는 수족관 시설만 있어 교평 대상이 아니었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의혹은 쉽게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