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아쿠아월드가 시민들의 큰 관심과 우려 속에 지난해 말 개장했다. 그러나 아쿠아월드가 문을 열면 오월드·뿌리공원 등과 연계해 전국적인 관광명소로 조성하겠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교통대란을 불러일으키며 지역 최대의 골칫거리로 대두되며 시민들에게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충청투데이는 대전 아쿠아월드의 조성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두 5차례에 걸쳐 기획 보도할 예정이다.
◆전시성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예견된 재앙
대전 아쿠아월드 조성 사업은 지난 2009년 11월 대전시와 대전시 중구가 발표한 ‘보문산 뉴 그린 파크(NEW GREEN PARK)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된 민선4기 최대 투자유치 사업이다.
당시 시장과 구청장은 기자회견에서 “보문산 공원을 새롭게 재창조해 전국적인 관광단지로 조성하겠다”며 아쿠아월드 등 우선 추진사업 6개, 보문산 관광 모노레일 설치 등 중장기 추진사업 7개 등 모두 3664억 5000여만 원을 투입, 13개 역점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대전시는 이 사업과 함께 아쿠아월드와 오월드를 보문산 후면으로 잇는 환상형 생태순환길(둘레길)을 개설, 트레킹 코스로 개발하고, 장기간 흉물로 방치됐던 그린랜드를 철거한 뒤 내년까지 모두 105억 원을 투자해 도심 속 생태공원을 조성키로 했다.
시와 구는 이와 함께 보문산을 전국적이고,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키우기 위해 중구청~뿌리공원을 잇는 편도 6.5㎞ 구간에 민자 유치를 통해 모노레일을 설치한다는 청사진도 함께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민선4기 대전시장과 중구청장의 최대 투자유치 사업으로 원도심 활성화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올랐지만 결국 준비되지 않은 전시성 사업으로 전락, 시민들에게 불신을 안기며, 교통·환경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실체없는 투자유치 사업=민선4기 최대 치적사업으로 포장
지난 2009년 4월 대전시는 미국 시애틀 시청에서 콜로라도주에 소재한 세계적 아크릴제품 생산기업인 레이놀즈사(Reynolds Polymer Technology Inc) 및 한국 자회사인 ㈜H&G아쿠아월드와 ‘대전아쿠아월드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 사업과 관련 투자유치에서 조성까지 전 과정이 베일 속에 쌓인 채 불투명하게 추진됐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아쿠아월드 조성 사업은 2009년 2월 미국의 수족관업체인 레이놀즈사와 거래하고 있던 K 씨가 대전시에 사업추진 계획서를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K 씨는 평소 미국계 기업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레이놀즈사의 ‘한국 내 책임자’라는 직책을 갖고, 시와 협상에 나섰으며, 시는 ‘외국자본의 투자유치=시민지지율 상승’이라는 점을 감안, 곧바로 시장의 미국 출장길에서 대규모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문제는 이 사업을 추진했던 주체들이 대부분 자본투자가 아닌 현물투자에 그쳤고, 시공사로 참여했던 업체마저도 향후에 운영주체로 변경됐다는 점이다.
당초 250여억 원의 투자를 약속했던 레이놀즈사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아쿠아월드 내 수족관 등 80여억 원 상당의 시설물에 대한 현물투자로 전환했고, 나머지 사업비 대부분은 시공사인 O사가 부담했고, 이 건설업체의 대표가 현 아쿠아월드의 회장직으로 선임돼 있다.
결국 미국의 레이놀즈사가 아쿠아월드에 대한 직접적인 자본투자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이 업체와 오랫동안 거래했던 K 씨가 사업추진에서 시공사 선정까지 모든 절차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왜 시장이 미국까지 가서 대규모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는지에 대한 의문만 남게 된 셈이다.
이에 대해 ㈜대전아쿠아월드 관계자는 “레이놀즈사는 아쿠아월드 조성과 관련해 기술력을 제공하고, 대형수족관 등 80여억 원 상당의 시설물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도 “이 사업은 참여사들이 직접 투자가 아닌 시설투자에 따른 지분권 참여형태로 진행됐다”며 “원래 투자유치 사업 자체가 이런 형태로 진행되는 만큼 큰 문제는 없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의혹은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