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에 3조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며,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일선 중소기업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대전과 충남지역 중소기업들 역시 지난해에 비해 정책자금 지원 규모가 2581억 원으로 확대됐음에도 불구,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지역 일선 중소기업들이 정부 지원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올해부터 변경되는 정책자금 공급 전략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정부는 올해 정책자금 공급 전략을 특정 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을 지원해 주던 네거티브 시스템에서 전략산업을 중점 지원하는 포지티브 시스템으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경우 정부가 선정한 7대 전략산업인 태양전지 및 LED응용·IT융합·고부가식품산업(녹색·신성장), 금형·주조·열처리(뿌리산업), 캐릭터·게임·애니메이션(문화콘텐츠) 등에 전체 70%인 2조 2000억 원의 정책자금이 집중 지원된다.

이에 따라 7대 전략산업에 해당되지 않는 기업들은 지원자금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에 떨고 있다.

특히 정부가 우량기업 및 한계기업을 지원대상에서 제외하고, 절감비용을 창업 초기 단계 기업에 지원키로 하면서 창업 3년 이상 중소기업과 수출 주력 기업들의 경우 자칫 지원대상에서 빠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숨기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에서 전기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한 중소기업 대표는 “창업 7년이 지나면서 회사 규모까지 커진 상황에서 정부 지원금이 절실한데 전략사업과 신생 기업 육성에만 투자한다는 정부방침이 매우 실망스럽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또 다른 중소기업 대표 최모 씨 역시 “우량 중소기업이라고 해도 대기업과 비교하면 초라한 업체가 많은 데 신생기업 양산에만 신경쓰고 있어 걱정이 크다”며 “생산뿐만 아니라 판로개척 등 중소기업들의 자생력을 키우는 제도 보완 없이는 아무리 많은 창업을 이끌어낸다고 해도 결국 태생적인 한계기업을 양산하는 꼴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